경북도는 삼국유사 목판사업을 문화 분야 역점시책으로 추진 중인 가운데 지난해 12월말 ‘조선초기본’ 목판복원을 완료했다고 1일 밝혔다.이번 조선초기본 목판복원은 지난해 7월 복원이 완료된 조선중기본 목판복원에 이은 두 번째이다.삼국유사 목판사업은 2013년 5월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군위군 현장 방문 당시 국정 과제인 문화정책의 선도와 경북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그 필요성을 제시하며 시작됐다.이에 사업은 2014년 하반기부터 본격 추진됐다. 사업은 고려 충렬왕 7년(1281) 일연 스님이 군위군 인각사에서 완성한 민족의 보물 삼국유사가 목판 없이 인쇄본만 전해 옴에 따라 목판원형의 복원을 통해 삼국유사의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제고하고 우수한 전통 목판인쇄 기록문화 계승·발전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도는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조선중기본’과 ‘조선초기본’ 2종을 차례로 복각(復刻)해 인출(印出)한 후 오침 안정법(五針 眼訂法) 등의 전통방식으로 책을 만들었다.도는 올해 상반기에 이들을 집대성하고 교감한 ‘경상북도 교감본’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인터넷으로 공개할 계획이다.특히, 도가 조선중기본을 먼저 복원한 것은 저본(底本)인 ‘중종 임신본’(1512년 간행, 5권2책, 서울대 규장각 소장)이 ‘삼국유사’ 연구의 기초자료로 현존하는 가장 온전한 형태의 삼국유사 목판 인쇄본이기 때문이다.지난해 말 복원한 조선초기본은 여러 종의 판본이 전해지고 있다. 그 중 왕력과 권1, 권2는 연세대가 소장한 ‘파른본’을, 권3은 고려대 소장 ‘필사본(筆寫本)’을, 권4와 권5는 범어사 소장 ‘범어사본’을 저본(底本)으로 했다.아울러, 지난해 1월부터 판본조사와 목판판각의 과정을 거쳐 10월 말 복각(復刻)이 완료됐다. 12월 말에는 인출(印出), 제책(製冊)까지 마쳐 사실상 본 사업의 목판복원 작업은 완료됐다.특히, ‘경상북도 교감본’은 수차례 제작 방법에 대한 토론회와 삼국유사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시대 트렌드를 반영하고 대중적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목판보다는 미래지향적 방법인 디지털화하는 것으로 제작방향이 설정됐다.이에 따라 도는 올해 상반기 안에 ‘경상북도 교감본’의 제작을 완료해 삼국유사 목판사업을 모두 마무리할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