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통령의 퇴임 이후 조기 대선 체제가 현실화됐지만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아직도 말이 없다. 이젠 정해진 절차에 따라 대선을 치르면 되고, 그 결과로 새로운 정권이 들어서면 대한민국은 또 다른 미래를 마주하게 되는 예측 가능한 진입로에 들어섰다. 하지만, 아직도 남은 불확실성은 황 대행의 거취 문제다. 그가 가진 권한이 대선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다. 일단 향후 대선일 확정 여부는 그의 손에 달려있다. 당장 대선일 공고 권한부터 그에게 달려있다. 대선 일을 언제로 결정하느냐에 따라 남은 대선 시간표가 짜여진다. 빡빡한 일정 등을 고려해 법정시한인 60일을 모두 채운 5월 9일을 대선 일로 확정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우세하지만 이보다 앞당겨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때문에 황 대행이 출마할 경우 이번주 중으로 예상되는 대선일 결정도 결국은 자신의 출마 스케줄에 맞춘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황 대행은 지난 10일 대국민 담화에서 “새 정부가 안정적으로 들어설 수 있도록 공정한 선거관리 등 헌법과 법률에서 부여된 책무를 성실히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때만 해도 황 대행이 불출마로 기운 것 아니냐는 전망이 많았다. 그러나, 황 대행은 지난 11일 김태호 전 새누리당 최고위원을 만난 것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미묘한 파장을 낳았다. 굳이 불출마할 생각이라면 김 전 최고위원을 만나야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은 황 대행의 출마를 염두에 둔 ‘특례 규정’을 만들었다. 1차 경선을 통해 가려진 3명의 후보를 상대로 책임당원 50%, 일반 국민 50% 여론조사 방식의 경선을 통해 31일 최종 후보를 확정한다는 계획이지만, 본 경선 여론조사 직전까지 추가로 후보 등록을 할 수 있는 특례 규정을 뒀다. 그간 황 대행이 출마 여부를 확정 짓지 않는 이유 중 공직사회의 기강 문제가 언급된 바 있다. 공직사회를 다잡기 위해서라도 황 대행의 출마 가능성을 계속 남겨 놓아야 한다는 취지였다. 하지만, 공직사회의 모든 시스템이 60일도 안 남은 대선체제 관리로 전환되고 있다.법적으로 그가 선거일 30일 전까지 대행 직을 사퇴하면 출마에 아무런 문제는 없다. 하지만, 대통령을 하겠다면서 마지막까지 안개 행보를 걷다가 끝에 가서 결정을 하는 것은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고 지지도 받기 어렵다. 떳떳하고 소신 있는 결정을 할 때가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