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군 구지면에 위치한 달성2차 쓰레기 소각장(이하 소각장)은 9년째 혈세만 투입하고도 무용지물인체로 공회전만 계속하고 있다.당초 350여억원의 건설비로 완공해 매년 3억원에서 9억여원을 들여 최소한의 유지보수만 하는 실정이다.이유는 소각장 건설 당시 대구시 담당 공무원은 부처 간 의견 수렴 시 70톤을 예상했지만 허가당시 달성산업단지의 산업 및 생활 쓰레기로 한정해, 달성산업단지의 쓰레기는 일일 10톤에 불과했기 때문이다.이에 대구시는 지난해 3월 대구내 지역 상관없이 발생한 쓰레기를 구지 소각장에서 처리 할 수 있도록 지방환경청으로 부터 변경승인 허가를 받았다.  주민들은 이러한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다. 대구시의 편의에 따라 주민들과 협의 없이 변경승인을 신청한 대구시의 행태에 대해 용납할 수 없는 처사라며 대구시의 행정에 강한 불신감을 드러냈다.대구시 담당자는 “주민협의체가 불분명해 협의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지만 주민들은 “한번 버려진 환경은 복구하는데 수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굳이 후손들에게 파괴된 환경을 물려줄 수 없다”면서 쓰레기 소각장 운영에 대해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구지면 환경발전 위원회 A씨는 “경북의 예를 보면 만약 지정폐기물 처리장으로 다시 변경한다면 주민들과의 합의와는 상관없이 전국의 폐기물을 유입해도 법적하자가 없는 것으로 된 경우가 있다”며 “이 경우 주민과의 갈등 뿐만 아니라 공단 한복판에 쓰레기 무덤이 생기게 된다”라며 대구시의 일방적인 행정을 경계했다.주민들은 대구시가 주민과의 합의를 내팽개치고 억지로 감사원의 지적사항을 지키려는 대구시의 의도는 구지주민을 무시한 처사라며 합의서대로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지난해 대구시는 감사원 감사 지적사항으로 방천동 쓰레기장의 감독을 강화했고, 그결과 1일 400톤 가까이 줄어, 1일 900여톤의 쓰레기는 성서지역 난방시설에 300톤, 방천동 매립장 앞 소각장(SRF)에 600톤이 소요돼 구지 소각장까지 내려올 물량이 없다. 또 전반적인 사회적 추세로 봐서 쓰레기는 줄어들 뿐 아니라 국가산업단지가 전체적으로 완공돼 쓰레기가 늘어난다 해도 생활쓰레기보다는 산업폐기물이 늘 것으로 전망할 때 대구시의 변경 이유가 의심스럽다.실제 10톤의 쓰레기 양이라면 소각장을 건설하지 않고 위탁 처리하는 게 훨씬 적은 비용으로 경제적인 방법이다.구지면 근방에는 N타이어를 비롯해 세 곳의 제지공장에서 하루 수백톤씩 폐기물을 소각하고 있다. 소각온도 800℃ 이상이면 다이옥신이 사라진다고는 하나 기압의 역류현상이나 취급부주의로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실제 1년에 몇 차례씩 행정조치를 당하고 있어 백연현상일 뿐 기준치 이하라 아무피해가 없다고는 하나 주변의 주민들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일부 주민은 구지 국가공단은 타 공단에 비해 공공시설면적이 턱없이 부족하다. 소각장 부지에 주민복지시설이나 공원을 조성하라는 측과 소각장 운영을 억지로 짜 맞추지 말라며 “대구국가산단의 전력수요량이 680MW가 필요하다. 산단 주변에 송전탑으로 둘러싸지 말고 정부가 추진하는 분권형 발전소를 건설해 전력을 자체수급하고 주변의 쓰레기로 열을 발생해 운영하는 공장을 흡수하고 구지, 유가, 현풍 등의 아파트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열병합발전소 건설로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시설의 유치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최재훈 대구시 의원은 “주민들의 동의없는 가동은 불가하다. 대구시는 주민과의 합의를 존중하라”며 “쓰레기가 모자라 가동 못한다는 변명만 하지 말고 9년째 혈세만 투입하고도 아무런 결론이 없다면, 환경부고시 내용연한 15년의 시설이 9년째 공회전하고 있다. 대구시는 폐쇄를 하든지, 다른 시설을 하든지 결단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