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지난 6일 우리나라 우울증 환자수가 약 61만3000명으로 전체 국민의 1.5%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복지부에서 실시한 ‘2016 정신건강실태조사 결과’로, 연간 감기 환자(83만 명)에 가까운 수의 국민이 일생에 한번쯤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의미다. 국내에서는 성별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다. 지난해 기준 여성 우울증 환자는 46만9000명으로, 남성(23만4000명)의 2배다.심각한 우울증은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주요우울장애는 우울한 기분, 흥미의 저하, 체중감소 또는 증가, 불면 또는 수면과다, 정신운동성 초조 또는 지체 등 증상 가운데 5가지 이상의 증상이 최소 2주일 간 거의 매일 지속될 때 진단을 내리게 된다. 저절로 호전되기 어렵다는 것이 특징이다. 주요우울장애를 앓고 있는 경우에는 상황에 따른 변화가 적고 우울한 기분이 계속된다. 최근 우울증에 대해 전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울증 유병률은 하락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일년유병률의 경우 △2001년 0.7% △2006년 1.7% △2011년 1.8%로 상승하다 △2016년 1.1%로 꺾였다. 여성 역시 △2001년 2.9% △2006년 3.2% △2011년 4.2%로 오름세를 보이다 △2016년 1.9%로 떨어졌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정신질환을 드러내기를 꺼려하는 경향이 있어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정신의료서비스이용률은 2006년 11.4%에서 2011년 15.3%로 높아졌지만 현재도 약 15%대에 머물러 있다. 이는 미국(39.2%), 호주(34.9%), 뉴질랜드(38.9%) 등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서울대병원 정신의학과 하규섭 교수는 “우울증은 효과적인 치료법이 많이 개발돼 있어 빨리 발견해 전문가의 치료를 받으면 호전된다”며 “가족․친구들에게 터놓고 이야기하거나, 전문가와 상담이 중요하며 일상에서 무엇보다 대화하기를 권한다”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