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는 18일 웰에이징연구센터 이윤일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파킨슨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후보물질을 발견했다고 밝혔다.또 이 물질을 이용해 도파민 신경세포의 사멸 억제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도 성공했다.파킨슨병은 중뇌의 흑질에 분포하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사멸되면서 발생하는데 신체 떨림, 경직, 느린 운동, 자세 불안정 등의 특징을 보이는 대표적인 신경계 퇴행성 질환으로 60세 이상에서 발병률이 높다.세포 내 단백질을 분해하는 시스템의 일부인 파킨(parkin) 단백질의 돌연변이나 저(低)발현이 세포 내에서 제거돼야 할 독성 단백질의 축적을 촉진해 도파민 신경세포의 사멸을 유도하고 퇴행성 뇌질환인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러나 도파민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은 현재 전무한 상태다.연구팀은 “도파민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할 수 있는 세포 보호 유전자인 파킨 단백질 발현을 유도해 도파민 신경세포 활성을 촉진하는 약물 후보군을 고속대량 스크리닝 방법으로 찾아냈다”고 밝혔다.연구팀에 따르면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알려진 코르티졸(Hydrocortisone)이 파킨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해 세포 사멸인자의 축적을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분해작용’으로 제거하며 도파민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호르몬 수용체를 통한 ‘CREB 전사조절인자’가 파킨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한다는 사실이 세포·동물 모델 실험으로 증명됐다.코르티졸이 퇴행성 파킨슨병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이윤일 선임연구원은 “적당한 수준의 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졸에 의한 파킨 단백질의 발현이 도파민 신경세포의 생존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원인일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한 것이 연구의 큰 의의”라며 “앞으로 파킨슨병 치료가 가능하도록 임상연구 등을 계속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지난 3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