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의 대표적인 국정기조인 문화융성을 이끌어나가겠다는 취지로 만든 문화융성위원회가 사실상 해체됐다.다만 융성위가 만든 대표적인 사업인 ‘문화가 있는 날’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도하는 사업으로 계속 이어나간다는 게 문체부의 입장이다.지난달 문체부가 매달 마지막 수요일에 진행되는 ‘문화가 있는 날’을 홍보하기 위해 내놓은 보도자료에는 ‘문화융성위원회’란 이름이 슬그머니 빠졌다.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 융성위는 2014년부터 지정된 ‘문화가 있는 날’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이 때문에 매번 ‘문화가 있는 날’을 소개할 때마다 융성위와 문체부가 함께 추진하는 것으로 언급돼왔다.그러나 이처럼 융성위의 이름이 빠지게 된 것은 사실상 해체된 것이나 다름 없는 융성위의 현 상태 때문이다. 2015년 말 위촉된 2기 위원들의 임기는 1년이어서 지난해 말까지 임기를 마친 상태다.이 때문에 3기 위원이 새로 위촉돼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국면을 맞으면서 더 이상 진행이 중단됐다. 현재 융성위는 4개월째 위원이 전혀 임명되지 않은 상태다.더욱이 다음달 치러질 대선 이후에는 새 정권이 들어서는 만큼 박근혜정부가 전면적으로 내세운 기구가 더 이상 운영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주변의 시각이다.문체부 관계자도 “지금은 융성위라는 게 사실상 없는 상태”라며 “위원장도 없고 민간위원들도 해촉된 상태에서 다음 정부에서 융성위를 끌고갈 것 같진 않다”고 말했다.다만 문체부는 ‘문화가 있는 날’의 경우 일단 문체부가 주체가 돼 그대로 사업을 지속해나간다는 계획이다.비록 융성위가 아이디어를 낸 사안이지만 일반 국민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접점을 늘리는 차원에서 긍정적인 데다 이미 올해 예산이 편성된 만큼 문체부가 단독으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더욱이 비선실세 의혹에 휩싸인 차은택 등이 융성위에 연루됐던 만큼 융성위의 이름을 계속 함께 거론하는 것도 문체부로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문체부 관계자는 “현재 입장으로선 ‘문화가 있는 날’이 국민들의 문화향유권을 신장한다는 측면도 있었고 예산도 확보된 상황”이라며 “융성위 위원들이 실무적인 일을 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문화가 있는 날’이 위원회가 없다고 해서 지장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