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야생동물이 인간과 더불어 살고 있는 친환경도시라고 홍보하고 있지만 정작 야생동물 보호를 위해 필요한 구조·치료·재활센터는 전국 광역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없는 실정이어서 동물보호 의지가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5일 대구시의회에 따르면 지난해 수성구 욱수천에서 생후 1개월 된 수달이 구조됐지만 재활시설이 없는 좁은 공간에서 지내다 회복기에 심한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해 죽는 사고가 있었다.2015년에도 이와 유사한 사고가 발생했다. 구조된 야생동물은 재활훈련을 거친 뒤 자연으로 돌려보내야만 생명을 건질 확률이 높다.구조된 야생동물 가운데 재활시설을 거치지 않고 자연으로 돌아간 경우에 80%에서 90% 정도는 죽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정부의 국가생물다양성 전략에 따라 2006년 경북을 시작으로 전국에 야생동물 구조치료센터를 설립했거나 건립 중이다.하지만 현재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센터가 없는 곳은 대구가 유일하다. 대구시의 야생동물 구조·치료는 민간 동물병원 8개소를 야생동물구조센터로 지정해 치료하는 단순 관리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야생동물 보호체계에 많은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야생동물 구조치료센터를 설립한 다른 시·도가 구조, 검사진료, 수술치료, 재활과 자연 적응훈련과 서식지 방사 등으로 이어지는 보호체계를 갖춘 것과는 너무나 대조적이란 지적이다. 최근 7년간 대구의 야생동물 치료현황을 보면 구조된 야생동물 총 2968마리 중 1985마리가 폐사돼 폐사율이 67%가 넘고 있으며 지난 2016년만 보더라도 구조된 429마리 중 66.2%가 폐사돼 자연방사보다 폐사되는 개체수가 더 많은 실정이다.이는 대구에 치료 후 정상적인 생존이 불가능한 동물들의 재활 훈련을 위한 방사훈련장 등 전용시설이 없고 야생동물 치료비 지원 예산도 연간 2300만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대구시의회 이경애 의원은 25일 제249회 임시회 5분 발언을 통해 “같은 야생동물이라도 대구에서 다치면 더 서럽다는 우스개 소리도 있다”며 “야생동물구조치료센터를 건립해 동물원에서만 동물들을 보게 되는 비참한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