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랜섬웨어(ransomware)를 활용한 대규모 사이버테러로 일대 혼란에 빠졌다. 영국 BBC 등 외신이 전한 피해만 해도 유럽, 아시아 등 약 150개국에서 지난 12일부터 최소 20여만건에 달할 정도로 대규모 사이버테러가 벌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기업 5곳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피해 신고를 했으며 이번 주에 대대적인 공세가 예고되고 있다.랜섬웨어는 컴퓨터 사용자의 파일을 암호화한 뒤 이를 푸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의 하나로 지난해에 등장했다. 이번 랜섬웨어는 지난 해와 다른 ‘워너크립트(WannaCrypt)’방식으로 파일을 열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만 해있어도 컴퓨터에 있는 파일들을 먹통으로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사태가 심각하다. 해당 랜섬웨어의 확산을 중단시키는 킬 스위치가 발견됐지만 이를 제거한 변종이 나와 감염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러시아, 대만과 함께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나라 중 하나인 영국에서는 국가보건서비스망(NHS)서버 중 일부가 공격당하면서 산하 의료기관 248곳 가운데 48곳의 응급진료가 중단되기도 했다. 자동차메이커 닛산은 선덜랜드 공장이 생산라인을 멈췄을 정도다. 물론 국내 관련 기관들도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한국인터넷진흥원는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윈도 보안체제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마이크로소프트가 보안 업데이트 지원을 중단한 윈도 비스타 이하 버전 이용자는 윈도7 이상의 운영체제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인터넷진흥원이 렌섬웨어 확산을 막기 위해 보안 전문 사이트 ‘보호나라(www.boho.or.kr)’에 감염 경로와 예방법을 담은 랜섬웨어 공격 주의 공지문을 올렸다. 하지만 이 정도로 대책이 될지 의문이다. 사이버 공간에서는 네티즌들의 불안과 공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랜섬웨어 공격이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확산 속도가 빠르고 피해 범위가 넓기 때문이다. 정부와 보안업계는 모든 역량을 집중해 사회혼란으로 번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중소기업이나 병원 등이 보안에 넉넉히 투자하기란 쉽지 않다. 개인인 경우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주요 7개국 재무장관회의에서 사이버 범죄의 위협에 공동 대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한다. 정부도 사이버 테러를 국가 존망의 문제로 인식하고 범정부 차원에서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