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교체기 마다 진행된 포스코 수사에 대한 진실이 이번 기회에 밝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권에 비판적이거나 비협조적인 기업인과 인사들을 타겟 삼아 수사를 벌이는 이른바 ‘하명수사’로 인해 포스코는 매번 신인도 하락으로 막대한 타격을 입어 왔다. 최근 문재인 정부는 ‘정윤회 국정개입 문건’ 수사과정의 문제점과 국정원 댓글 사건에 대한 재조사를 천명하며 검찰개혁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이에 그 동안 진행된 포스코 수사에 대한 진실도 밝혀져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포스코 수사는 이완구 전 국무총리가 ‘부패와의 전쟁’을 선포한 2015년3월 시작됐지만 수사가 급작스럽게 이뤄지다보니 처음부터 그 배경과 명분이 분명치 않았다. 검찰은 당시 포스코와 포스코건설 등과 관련된 기업인들을 줄소환했다. 이 수사로 포스코는 물론 관련 협력업체 등 20~30개 기업이 조사를 받았다. 하지만 검찰은 사건의 정점으로 여겼던 전 A포스코회장과 전 B포스코건설 부회장을 수사 착수 7개월 만에 기소했으나 모두 무죄 판결이 났다. 실패한 수사라는 지적과 함께 재계는 물론 검찰 내부에서 조차 기업수사 장기화에 따른 파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다. 포항지역 기업들은 포스코 공사를 수주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수사 선상에 올랐고, 포스코와 정치권으로 흘러 들어간 비자금을 찾겠다고 나선 검찰에 의해 수개월동안 소위 먼지털이식 수사를 받았다.비자금이 나오지 않자, 이른바 별건수사를 벌여 기소했으나 대부분 무죄 판결이 나기도 했다. 무엇보다 이같은 검찰의 수사 장기화와 표적수사로 포항지역 공단과 서민 경제는 때 아닌 한파에 직면했다. 철강공단 기업들의 가동률이 크게 떨어졌고, 심지어 부도기업도 잇따랐다. 포항시에따르면 IMF한파에도 별다른 영향이 없었던 철강공단은 지난 2015년 휴·폐업 업체가 19개소에 이르렀고 2016년 19개 업체가, 2017년 17개 업체가 각각 휴·폐업하며 철강경기가 좀처럼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름만 대면 알만한 기업들의 휴·폐업도 속출했고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의 경우 유치를 지원하는 기업도 한곳도 없는 등 포항경제는 글자그대로 나락으로 떨어졌다.이에 철강업체로 대변되는 기업들의 회식과 모임이 줄어들면서 포항 밑바닥 경제도 된서리를 맞았다. 철강공단 주변 해도동과 청림동, 오천읍 일대 식당들의 50%가량이 이 기간 중 폐업하거나 주인이 바뀌는 손바뀜 현상이 발생했다. 최근 포스코 수사는 국정농단의 핵심인 최순실씨가 포스코 인사에 깊숙이 개입한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미르·K스포츠재단 출연금을 거둘 목적으로 청와대의 하명으로 사정정국을 조성한 것 아니냐는 의혹마저 사고 있다. 미르·K스포츠재단이 설립된 것은 공교롭게도 포스코 수사가 막바지로 치닫던 2015년10월이다. 이같은 사정정국은 ‘비선실세’ 최순실씨가 주도하는 미르·K스포츠재단의 출연금 ‘반(半)강제적’ 확보에 악용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지역정치권의 해석이다. 지역정치권 한 관계자는 “여러 정황을 볼 때 청와대의 하명으로 포스코 수사가 무리하게 진행됐고, 사정정국이 조성되면서 대기업들을 대상으로 출연금을 반 강제적으로 모금했다는 해석이 성립된다”면서 “진정한 검찰 개혁을 위해 당시 하명수사를 주도한 인물을 발본색원해 책임을 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포항시민자치참여·연대 황병렬 운영집행위원장은 “검찰 수사로 인한 피해, 다시말해 기업활동을 옭아매는 하명식 수사로 인해 정상적인 기업활동 위축은 물론 2차적인 기업투자 철회 등으로 결국 포항시민들만 피해를 입었다”며 “포스코와 연관된 수만명의 기업활동이 위축되면서 포항경제는 다시 일어설 수 없는 나락으로 떨어졌다”며 강조했다.결국 “정치가 민생을 살리는 것이 아니라 죽이고 억압한 꼴이 됐다”며 “현 정부는 이 기회에 이런 적폐를 정산하고 정상적인 기업활동이 보장받고 기업인이 우대받는 사회를 만드는 초석을 다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