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일자리 창출을 최고 국정과제로 삼으면서 정책 추진에 힘쓰고 있으나 대구지역은 인식이 낮고 준비도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지역 고용전문가들은 성공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고용노동부와 대구시, 각 기초자치단체가 긴밀한 협력네트워크 구축과 인력배치를 통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대구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는 27일 대구상공회의소에서 ‘대구지역 인력 양성과 일자리 창출의 과제와 해법’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이 포럼에서 이재흥 한국고용정보원 원장은 ‘미국의 지역 고용정책과 인력개발’ 기조 강연에서 “지역별 특수성을 감안한 개념에 기초해 지역 사회의 산·학·관 등의 리더십과 파트너십을 통한 일자리와 인력개발 문제를 동시에 풀어나가는 지역 혁신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김용원 대구대 교수는 ‘대구지역 일자리 창출 활성화 방안’ 주제발표에서 “일자리의 순증가를 통한 고용률 증대를 위해서는 단기적이며 정량적인 목표에 치중하지 않아야 한다”면서“소멸되는 일자리 유지, 창업지원, 기업 유치와 신설을 통한 일자리 창출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대구시의 고용률 추이 분석 자료에 따르면 올해 시는 10만5844개의 일자리 창출 목표를 세웠지만 공공 근로 등 공공부문 직접 일자리 창출은 4만8110개로 전체의 45.5%를 차지했다.반면 기업 신설 및 유치 등을 통한 민간부문 순수 일자리 창출은 3966개(3.8%), 창업지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은 679개(0.6%)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김 교수는 “매년 반복 시행하고 있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일자리사업을 순수한 일자리 창출로 인정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토론자로 나선 이승협 대구대 사회학과 교수는 “대구지역은 청년층에 대한 인력수요는 매우 높지만 중소기업체에 대한 인력공급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인력양성과정에 업종별·협회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인력수요, 훈련과정, 일자리 매칭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주무현 한국고용정보원 선임연구위원은 “일자리 창출의 원천인 중소기업이 활력을 회복할 때 우리 사회에 요구되는 4차 산업혁명 대응이나 성장이 가능하다”며“지역 중소기업 업계가 힘을 모아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정연국 디젠 대표는 “정부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중소기업에 대한 단순한 자금 지원 뿐 아니라 정부 차원의 사업기회 제공과 함께 다양한 지원 정책이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