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창고처럼 피부에 붙여 생체신호를 분석해 휴대전화로 전송할 수 있는 전자피부가 개발됐다.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는 지난 10일 로봇공학전공 장경인 교수 연구팀이 미국 일리노이대 존 로저스 교수 연구팀과 함께 식물의 넝쿨 구조를 모방해 전도선을 활용한 무선통신 기반의 전자피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이 전자피부는 인간의 생체신호 수집에서부터 저장, 분석, 외부기기로의 무선통신까지 가능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건강을 진단하고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전자피부는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 센서, 안테나 등이 포함된 상용 집적회로소자와 스프링 구조의 고신축성 전도선, 초연성 재질의 신소재로 이뤄져 있다.연구팀은 금속과 폴리머 복합재료를 사용해 식물 넝쿨의 구조를 기하학적으로 모사한 초신축성 전도선을 개발, 전자피부에 적용했다.전자피부는 얇고 부드러우며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붙일 수 있다.또 독립된 컴퓨터처럼 작동하기 때문에 생체신호의 수집과 분석, 저장이 가능하며 무선통신으로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해 건강정보를 진단할 수 있다.장경인 교수는 “무선통신 기반의 전자피부는 빅데이트와 인공지능을 활용해 언제 어디서나 건강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하는 의료시스템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며 “도서산간 지역이나 의료 사각지대의 환자에게 원격진료와 치료 서비스가 가능한 전자피부 시대를 열고 싶다”고 말했다.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지난달 2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