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노후 경유차, 석탄화력발전소 등에서 배출하는 미세먼지만으로도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을 초과해 국내 저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19일 환경부에 따르면 국립환경과학원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한-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 조사(KORUS-AQ)’ 설명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배출 미세먼지의 대기오염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국외 오염물질 유입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난해 5월2일부터 6월12일까지 수행됐다. 지상측정소의 관측값을 기반으로 시간의 역순으로 배출원을 추적한 결과다.공동조사단에 따르면 해당기간 서울 잠실올림픽공원에서 측정된 미세먼지(PM2.5)의 기여율은 국내가 52%로 국외 영향(48%)보다 우세했다. 국외 영향은 중국 산둥(22%), 북한(9%), 북경(7%), 상해(5%), 만주·일본·서해·기타(5%) 순으로 나왔다.특히 국내 영향만으로도 WHO의 미세먼지(PM2.5) 권고기준인 ‘24시간 25㎍/㎥’을 초과하는 날이 관측됐다. 국내 저감대책이 필요하다는 의미다.미세먼지 등 오염물질의 영향은 수도권지역의 남쪽 부근에서 가장 강했다. 이는 서해안에 있는 5개 석탄화력발전소와 인근 대산화학단지에서 배출한 오염물질이 남서풍을 타고 북상해 수도권 남부 지역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해안 석유화학시설 부근의 경우 상층의 연기에서 벤젠 등 특정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가 높게 관측돼 배출 최소화와 지속적인 관측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측정기간동안 석탄화력발전소와 같은 대형 시설 관측은 2회만 이루어져 추후 지속적인 관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이와함께 미세먼지 오염의 75%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에서 직접 나온 것이 아니라 자동차 등이 내뿜는 질소산화물(NOx), 톨루엔 등 유기화합물 등과 대기중에서 만나 2차적으로 생성된 미세먼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2차 생성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유기물질(OC)·질소산화물·암모니아·블랙카본(BC) 등도 절반 이상이 국내에서 생성된 물질인 것으로 조사돼 미세먼지 관련 대기환경기준을 강화하고 2차 생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국내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환경과학원은 “미세먼지와 오존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질소산화물과 휘발성 유기화합물, 특히 톨루엔과 같은 유기화합물질을 감축해야 한다”면서 “향후 오염원 조사를 더 상세하게 평가해 최적의 배출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