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21일 ‘가뭄대책 상황실’ 운영을 72일 만에 끝내고 평시 체제로 전환했다. 이는 8월 ‘단비’로 저수율이 평년 대비 86% 수준에 도달해 가뭄주의 단계를 벗어났기 때문이다.경북도는 올해 충청, 전남, 경남 등 전국적으로 가뭄이 심했으나 ‘가뭄 심각’ 단계가 하루도 발생하지 않았다.경북도는 이에 대해 “하늘의 도움도 컸지만 경북도의회와 가뭄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수시 협의를 통해 단계별 적기 예산지원, 시·군과 유관기관의 장비·인력 등 신속한 후속조치 이행 등 사전 가뭄대책도 큰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도는 기후변화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2015년부터 가뭄종합대책 계획 패러다임을 바꿔 지난해 10월부터 봄철 농업용수 부족에 대비해 나갔다. 우선 가뭄대책비 22억원을 지원해 관정개발, 양수기 설치 등 용수개발에 나서고, 저수지 물채우기 등 지속적인 용수관리를 함으로써 3월말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을 평년 수준 이상으로 끌어올렸다.또 항구적인 가뭄극복 사업으로 낙동강 상주보 하천수 활용 양수시설 설치 사업(311억원)을 지난해 12월 조기 완료해 상주권역 농경지 739ha에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했다.김관용 지사는 지난 6월 23일 장마철임에도 강우 부족을 우려해 의성군 이연리의 긴급 양수시설 설치현장을 찾아 농업인들을 위로하고 관계자로부터 가뭄상황 및 추진대책을 보고 받는 자리에서 “가뭄피해 최소화를 위해 예비비를 긴급투입하고 가뭄피해 최소화에 최선을 다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이에 따라 도는 가뭄 단계별 대책을 수립해 중앙정부와 실시간 화상회의, 가뭄일일상황 보고체계를 유지하고 가뭄 대책비 280억원을 투입해 가뭄발생 농지 1964곳의 용수원을 개발했다.또 시·군 중심으로 굴삭기, 양수기 등 장비 6068대, 주민·공무원·군경 등 인력 5814명을 동원해 가뭄피해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였다.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한반도 이상기후 현상이 이제는 평범한 일상이 된 만큼 하늘만 바라 볼 것이 아니라 땅에서 단비를 찾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항구적 가뭄대책을 위해 중앙정부와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