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달서구에 사는 어르신 A씨는 슬하에 1남 4녀를 두고 있다. 현재 고령과 질병으로 경제활동을 통한 소득이 전무한 상황이다. 게다가 질병으로 인한 의료비 지출이 커 차상위본인부담경감으로 의료비 일부를 지원받고 있지만 부양의무자인 자녀 1명의 재산가액이 맞춤형 생계, 의료, 주거급여 선정기준을 초과해 기초생활보장에서도 탈락됐다. 부부의 기초연금 32만원과 장애수당 4만원이 소득의 전부인 셈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기초생활보장이 중지돼 막막하던 중 대구시에서 마련한 시민행복보장제도를 통해 매월 20여만원의 지원금을 받게 돼 생활에 큰 보탬이 됐다.    #2. 서구에 사는 B씨는 이혼 후 혼자서 생계를 꾸려 오다 최근 심장수술을 해 근로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의료비 부담이 많아 기초생활수급을 신청했지만 부양의무자인 자녀의 소득초과로 인해 부적합 처리됐다. 그동안 저축했던 돈과 보험금으로 생활을 꾸려오다가 이마저도 소진된 상황.B씨에게도 대구시의 시민행복보장제도는 큰 힘이 됐다. 매월 10여만원씩 정기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어 의료비 등에 보탬이 됐다. 대구시의 ‘시민행복보장제도’가 지원대상자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22일 대구시에 따르면 민선 6기 공약사업으로 시행하고 있는 대구형 기초생활보장제도인 ‘시민행복보장제도’의 지원대상자가 꾸준히 증가해 지난 달 기준, 934가구 1435명에게 1억5000만원 정도를 지원하고 있다. 2인가구 기준 평균 19만7000원 정도가 행복급여로 지급되고 있다. 대구시 측은 “기초생활보장급여를 신청했지만 부양의무자 기준으로 탈락해 지원을 받지 못하는 복지사각지대 취약계층을 돕기 위해 2015년 4월에 보건복지부에 사회보장제도 신설을 요청했다”며 “같은 해 9월 보건복지부가 이를 수용하면서 관련 조례를 개정했고, 현재 ‘시민행복보장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전했다.대구시는 시행 첫 달인 2015년 10월 364가구 620명에게 3200만원을 지원한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1만5883가구 2만5357명(월평균 722가구 1152명)의 취약계층에게 25억원 규모의 행복급여를 지급했다. ‘시민행복보장제도’는 취약계층 가구 중 부양의무자가 부양능력이 있어도 정기적인 부양비를 지원하지 않아 실제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지만 정부의 맞춤형 복지급여를 받지 못하고 복지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는 취약계층의 기본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대구시가 도입한 것이다. 지원대상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신청을 했으나 부양의무자 기준 초과로 수급자가 되지 못하는 가구 중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의 50%(2인가구 140만원) 이내인 가구다. 대상자로 선정되면 매월 생활비를 보조하는 행복급여(2인가구 19만7000원)와 출산 또는 사망 시에 지급되는 해산·장제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다.권영진 대구시장은 “정부에서도 비수급 빈곤계층 감소를 위해 2022년까지 부양의무자 기준을 단계적으로 폐지한다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며 “대구시는 앞으로도 시민행복보장제도를 통해 정부 차원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복지사각지대 취약계층의 최저생활 보장을 위해 신규 지원대상자 발굴과 급여수준 현실화 등 지원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