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학년도 수능 개편을 위한 공청회가 21일 대전 충남대 일정으로 모두 끝났다. 참석자들은 4과목을 절대평가하는 1안과 국어, 수학, 선택과목까지 포함한 전 과목 절대평가인 2안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하지만 절대평가 적용 범위를 둘러싼 의견은 아직도 분분하고, 둘 다 적절치 않다며 제3의 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견해도 적지 않다. 참석자들은 4과목을 절대평가하는 1안과 국어, 수학, 선택과목까지 포함한 전 과목 절대평가인 2안을 놓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하지만 절대평가 적용 범위를 둘러싼 논란이 분분하고, 제3의 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견해도 많다. 교육부가 수능을 개편하려는 이유는 문·이과 구분 없는 창의 융·복합 인재 양성, 학생 간 무한 경쟁 및 학습 부담 완화 등이다. 여기에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교육 공약인 수능 절대평가를 가미해 1안과 2안을 만들었다. 그러나 교육 정책이 절대평가에 지나치게 집중되면서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데 실패했다. 수학은 여전히 이과 수학, 문과 수학으로 쪼개놓았고 탐구영역은 문·이과 벽을 허문다는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사회·과학탐구 중 한 과목만 선택하도록 해 문·이과로 구분했다. 또 개편안이 어느 쪽으로 결정되든지 수능·내신·비교과 활동(스펙)이라는 수험생의 3중고는 더욱 심화된다. 왜 수능을 개편하려고 하는지 알 수 없다.특히 수능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한다는 것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이다. 학생들의 입시 부담과 경쟁을 완화하고, 사교육비 절감과 고교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변별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대학들이 새로운 전형방법을 도입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일선 대학들은 절대평가가 전면 도입되면 수능 변별력이 떨어지고 학생부종합전형(학종)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걱정했다. 또 ‘정시 축소’와 ‘대학별 본고사 부활’ 가능성을 제기하며 단계적 도입을 지지하는 견해도 적지 않았다. 교육부는 공청회에서 나온 의견을 수렴해 오는 31일 최종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두 가지 시안 중 하나를 선택하겠다는 교육부의 고집은 유보돼야 한다. 이낙연 국무총리도 절대평가 전면 도입에 대한 ‘속도 조절론’을 제기한 상태다. “교육 정책은 학생과 대학이 수용할 수 있도록 신중하고 때로는 천천히 가야 한다”는 의견을 경청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