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의 전통적인 가정의 모습이 빠르게 와해되고 있다. 내후년이면 한국도 본격적인 1인가구 시대에 접어들 것이란 분석이 제기됐다. 가구 구성 형태가 여태까지(2015년 기준)는 ‘부부+자녀’가 32.3%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1인 가구가 27.2%, 끝으로 부부가구 21.2% 순이다. 그런데 2019년에 이르면 1인 가구비중이 29.1%로 가장 높아진다는 것이다. 세 집 가운데 한 집 꼴로 가구주 한 명만 사는 셈이다. 가구 분화 속도는 갈수록 빨라진다. 통계청이 미래에 예상되는 가구 규모와 유형을 전망해 22일 발표한 ‘장래가구추계(시도편)’ 결과를 보면 2026년에는 전체 시도에서 1인 가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며 2045년에는 36%까지 치솟게 된다고 한다. 반면 부부와 자녀가 함께 사는 전통적인 가구 모습은 16%선으로 완전히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1인가구의 확산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다. 이미 경제와 산업계의 지형에 1인가구가 반영되기 시작했다. 경기 침체로 백화점과 대형마트가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도 독신들이 이용하기 좋은 편의점 매출은 큰 폭 성장하고 있는 게 대표적 예다. 실제 편의점 3사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대비 18%가 성장했다. 간편식 등 단순 먹거리 외에도 세탁과 택배 등 생활 서비스를 강화한 덕분이다. 1인가구 시대에 크게 주목받는 산업은 외로움을 함께 할 반려동물 산업이다. 1인가구의 증가세에 따른 산업계의 판도 변화는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1인가구 시대는 복지나 주택 등의 정책 전반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대선주자들도 1인 가구와 관련해 여러 공약을 내놓았지만 아직은 단편적이고 개별 사안에 대한 임시처방 정도이다. 일본의 경우 정부 차원에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한 뒤 임대료를 할인해주는 등 1인가구 시대에 적극적으로 순응하고 있다한다. 적극 모방할만한 시책이다.1인가구는 주거배경이나 라이프스타일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지원정책 또한 세심하게 이뤄져야 비로소 실효를 거둘 수 있다. 청년층 1인가구 대책도 중용하지만 갈수록 가팔라지는 초고령화 사회에서 노년층 1인가구에 적합한 맞춤형 대책이 중요하다. 한층 정교한 맞춤형 계층별 복지정책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갈수록 심해지는 가구 분화에 맞춰 중장기 종합대책은 물론 지역별·가구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대책을 서둘러 마련할 때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