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초소형 지진가속도계측기를 추가적으로 설치해 피해예측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더하고 지진학 연구 활성화와 지진 전문인력 양성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지난 2016년 경주와 2017년 포항에서 연이은 지진에 전국이 들썩이고 지진에 관한 관심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지진이 발생할 경우 행동요령과 대피방법에 대한 홍보와 교육은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지진재난에 대한 대응과 복구를 위한 시스템은 아직도 걸음마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지진관측소간 거리가 멀고 시내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고해상도 진도정보를 생산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2016년 경주지진 이후 ‘지진방재 5개년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매뉴얼 정비, 지진대피소 추가지정 및 정비, 공공시설물 조기 마무리 등 다양한 지진방재 정책을 내놓은바 있다. 또한 2017년 포항지진 후에는 각 분야 전문위원이 참여하는 지진방재 TF를 구성하고 대구시 맞춤형 지진 방재정책 발굴에 힘쓰고 있다.지난해 12월에는 대구시 청사를 마지막으로 모든 구·군과 주요시설물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가 완료됐으며 지진가속도계측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을 마무리했다. 또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협업해 지자체 최초의 지진분석시스템을 갖추고 빠르게 지진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신속지진대응시스템’ 구축이 올해 7월 마무리 될 예정돼 있다.대구시는 23일 부경대학교와 업무협약을 맺고, 고해상도의 진도정보 생산을 위한 고밀도 지진관측망을 설치하고 고밀도 지진관측망 자료를 활용해 대구지역의 지진학적 특성 연구와 지진 전문인력 양성에 협력한다.부경대학교 강태섭 교수팀은 MEMS(초소형 지진가속도계측기)를 대구지역에 40여개소 설치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신속지진대응시스템’에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최삼룡 대구시 재난안전실장은 “지진은 그동안의 무관심의 크기만큼이나 선진국의 수준에 한참이나 뒤떨어져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지금부터라도 행정기관과 연구기관이 함께 시민의 안전을 위해 머리를 맞대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