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을 상수원으로 하는 대구 수돗물에서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발암물질로 분류한 과불화화합물의 일종이 검출돼 파문이 일고 있는 가운데 10여 년간 지지부진하던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가 지역 이슈로 급부상하고 있다.환경부는 지난달 29일 과불화화합물 3종을 수돗물 수질감시항목으로 신규·지정하면서 보도자료를 통해 “과불화화합물은 우려 수준은 아니나 정수장에서 검출 증가 추세가 확인돼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수질감시항목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하지만 일부 언론에서 환경부의 발표를 인용하면서 ‘대구수돗물 발암물질 검출’이라는 내용으로 보도해 대구시민들은 충격에 빠졌고 수만명이 수돗물 안전대책을 요구하는 청와대 청원에 참여하는 등 파문이 일었다.올해 5월 국립환경과학원이 낙동강 수계 18개 정수장을 상대로 실시한 과불화화합물 조사결과에 따르면 발암물질로 분류된 과불화옥탄산(PFOA)의 경우 대구 문산정수장과 매곡정수장의 경우 각각 0.003, 0.004㎍/ℓ였다.환경부는 이 수치들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권고치를 가진 미국의 0.07㎍/ℓ보다 낮아 문제가 없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체중감소와 콜레스테롤 수치감소, 갑상선 호르몬 수치 변화 등의 동물실험 결과가 있는 과불화헥산술폰산(PFHxS)의 경우 대구 문산·매곡정수장에서 0.102㎍, 0.126㎍/ℓ가 검출됐지만 이 또한 문제가 없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하지만 시민들이 느낀 수돗물공포는 가라앉지 않았고 계속되는 구미산단 화학물질 배출로부터 식수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낙동강 중류에 위치한 대구취수원(강정고령보)을 상류인 해평취수장으로 옮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대구시와 구미시 간 첨예한 입장차이와 정부도 양 지자체의 협의가 우선이라며 적극적인 개입을 꺼리는 사이 지지부진함을 면치 못하던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 해결에 이번 과불화화합물 수돗물 사태가 촉매제가 됐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달 29일 “마실 물과 관련해서는 시장직을 걸고 해결하겠다”며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그러면서 구미 시민과 사회단체 등이 대구와 해평취수장을 공동으로 사용하면 상수원 보호구역이 늘어나 재산권 피해가 우려된다는 주장에 대해 “잘못된 정보다. 해평취수장을 함께 써도 상수원 보호구역은 더 이상 늘어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또한 해평취수장의 수량이 부족해지고 수질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2014년 국토교통부 용역에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전문적인 검토 결과가 나온 바 있다”고 선을 그었다.그는 특히 “구미 시민이 믿지 못하겠다면 제3의 전문기관에 맡겨 다시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며 “이후에도 수량과 수질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면 대구 취수원 확보 문제는 다른 차원에서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강조했다.이철우 경북지사도 대구취수원 이전문제에 전향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문제 해결의 전망이 밝아졌다. 대구시장과 경북지사의 의지표명으로 급물살을 탄 형국이다.이 지사는 지난달 29일 “대구시민의 안정적 식수원 공급을 위해 구미로의 취수원 이전은 물론 영천댐·성주댐 물을 대구 식수원으로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조여은·이은진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