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와 전북 김제에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조성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지역으로 상주와 전북 김제가 최종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정보통신기술 (ICT)기반의 생산·교육·연구 기능을 모두 갖춘 일종의 산업단지다. 청년 교육과 취·창업을 지원하는 창업보육센터, 초기 투자부담 없이 일정의 임대료만 내면 스마트팜에 도전할 수 있는 임대형 스마트팜, 기술 개발후 시험해보는 실증단지 등이 들어서게 된다.   농식품부는 기존 농가 단위의 스마트팜 보급에만 주력하던 정책을 청년농업인 유입과 전후방 산업으로의 시너지 확대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손질하면서, 그 일환으로 2022년까지 전국에 혁신밸리 4곳을 조성하기로 한 바 있다. 혁신밸리 대상지로 선정된 두 지역은 조성 계획의 실현 가능성·구체성·타당성과 지역자원·농업인과의 연계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경북의 경우 체계적인 청년 교육과 정착 지원이, 전북은 기존 농가·전후방 산업과의 상생 전략이 각각 좋은 점수를 얻었다. 경북은 혁신밸리 청년 보육체계와 자체 청년농 육성 프로젝트를 연계해 매년 스마트팜 전문인력 80명을 배출한다는 계획이다.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청년 취·창업 지원과 함께 문화거리 조성과 주거시설 공급으로 청년의 유입-성장-정착도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지역 내 선도 농가가 멘토로 나서 스마트팜 운용과 작물 재배기술을 전수하고 수출 등 국내·외 판로 개척도 돕는 상생 모델도 만든다는 복안이다. 전북은 스마트팜과 관련된 연구개발 인프라를 활용한 연구-실증-검인증 체계를 구축해 기술혁신을 앞당기고, 이를 통해 농업과 전후방 산업 간 동반혁신 모델을 구축한다.  기존 농가의 노후화된 시설을 스마트팜으로 전환하고 지역의 통합 마케팅 조직을 통해 판로를 일원화한다. 스마트팜의 품목 다변화와 농가 소득 증진을 위해 혁신밸리를 중심으로 기능성 작물의 종자 개발부터 기능성식품의 제품화까지 연계하는 모델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두 지역은 예비 기본계획 보완을 거친 뒤 내년부터 혁신밸리 착공에 들어가게 된다.농식품부는 혁신밸리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스마트팜 혁신밸리 기획단(가칭)’을 발족하고 기본계획 수립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하지만 지역 농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가톨릭농민회 등 농민단체로 구성된 ‘국민과 함께하는 농민의 길’과 전국농민회총연맹 소속 농민 1000여명은 이날 오후 4시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옆 세종로 공원에서 혁신밸리 조성사업 중단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기로 했다. 농민단체는 농민의 생계 유지를 어렵게 하는 대책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특정 대기업과 스마트팜 혁신밸리 모델을 사전에 기획했다는 의혹 제기와 함께 수조원의 국비가 투입되는 대형 사업을 추진하면서 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조차 열지 않은 점도 문제 삼고 있다. 농민단체는 집회에 앞서 배포한 결의문을 통해 “예산 확보도 없이 강행되는 ‘농업계의 4대강 사업’일 뿐”이라며 “흔한 연구용역이 없으니 농산업에 미칠 영향 평가도 없다. 농민단체와 전문가의 의견을 묻지도, 지역농민들과 공청회 한 번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