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와 전북 김제에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조성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혁신밸리 조성 대상지로 상주와 전북 김제가 최종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혁신밸리는 정보통신기술 (ICT)기반의 생산·교육·연구 기능을 모두 갖춘 일종의 산업단지다. 청년 교육과 취·창업을 지원하는 창업보육센터, 초기 투자부담 없이 일정의 임대료만 내면 스마트팜에 도전할 수 있는 임대형 스마트팜, 기업과 연구기관이 기술개발 후 시험해보는 실증단지 등의 시설이 들어선다.   농식품부는 기존 농가 단위의 스마트팜 보급에만 주력하던 정책을 청년농업인 유입과 전후방 산업으로의 시너지 확대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손질하면서, 그 일환으로 2022년까지 전국에 혁신밸리 4곳을 조성하기로 한 바 있다. 지난달 13일까지 전국 9개 도를 대상으로 공모를 마감한 결과, 경남을 제외한 경기·강원·충북·충남·경북·전북·전남·제주 등 8개 도가 신청했었다. 때문에 추후 2개 지역을 추가 공모할 때 이번에 선정된 2개 도를 제외한 6개 도에서 재공모를 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관계부처 간 협의가 필요해 추가 공모 시기와 방법은 아직 미정이다.  혁신밸리 대상지로 선정된 두 지역은 조성 계획의 실현 가능성·구체성·타당성과 지역 자원·농업인과의 연계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경북의 경우 체계적인 청년 교육과 정착 지원이, 전북은 기존 농가·전후방 산업과의 상생 전략이 각각 좋은 점수를 얻었다. 경북은 혁신밸리 청년 보육체계와 자체 청년농 육성 프로젝트를 연계해 매년 스마트팜 전문인력 80명을 배출한다는 계획이다.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청년 취·창업 지원과 함께 문화거리 조성과 주거시설 공급으로 청년의 유입-성장-정착도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지역 내 선도 농가가 멘토로 나서 스마트팜 운용과 작물 재배기술을 전수하고 수출 등 국내·외 판로 개척도 돕는 상생 모델도 만든다는 복안이다. 두 지역은 예비 기본계획 보완을 거친 뒤 내년부터 혁신밸리 착공에 들어간다.농식품부는 혁신밸리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스마트팜 혁신밸리 기획단(가칭)`을 발족하고 기본계획 수립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박수진 농식품부 농업생명정책관은 “혁신밸리를 내실있게 추진해 청년의 농업 유입과 농업·전후방 산업 간 혁신모델 창출 등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조기에 내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역 농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가톨릭농민회 등 농민단체로 구성된 `국민과 함께하는 농민의 길`과 전국농민회총연맹 소속 농민 1000여명은 이날 오후 4시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옆 세종로 공원에서 혁신밸리 조성사업 중단을 요구하는 집회를 가졌다. 이들은 혁신밸리 조성이 농민의 생계 유지를 어렵게 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특정 대기업과 혁신밸리 모델을 사전에 기획했다는 의혹 제기와 함께 수 천억원의 국비가 투입되는 대형 사업을 추진하면서 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조차 열지 않은 점도 문제 삼고 있다. 농민단체는 “예산 확보도 없이 강행되는 `농업계의 4대강 사업`일 뿐”이라며 “흔한 연구용역이 없으니 농산업에 미칠 영향 평가도 없다. 농민단체와 전문가의 의견을 묻지도, 지역농민들과 공청회 한 번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사업 추진땐 농산물 값은 생산 과잉으로 폭락하고 중소 영세농은 일자리를 잃을 것”이라며 “정부와 국회는 중소농을 죽이고 대기업만 살찌우는 사업의 중단 발표와 예산 심의 거부를 하라”고 요구했다.이에 대해 박 농업생명정책관은 “혁신밸리 내 핵심시설 조성 및 운영에 관련된 예산과 구체적 부담 비율은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으로, 맥시멈(maximum·최고) 1000억원이 될 것”이라며 “(농민들의 주장은)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 연구개발(R&D) 추진 과정에서 20여 차례 간담회 형태의 의견 수렴을 거쳤고 대기업의 참여도 생산이 아닌 전후방 산업 부문으로 참여하게 돼 있다”고 전했다. 이어 “농민들이 우려·반발하는 포인트를 잘 이해하고 있다”며 “사업을 계속 추진하는 과정에서 지역 농민들에게 제대로 설명하고 농업 전문가들과도 협의해 보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