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억원 이상의 혈세가 투입된 달성산업단지 내 쓰레기 자원회수시설(2만1000㎥)이 10년 동안 한 번도 가동하지 못한 채 폐쇄수순에 접어들었지만 혈세낭비에 대한 책임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29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달성산업단지 내 쓰레기 자원회수시설은 하루 70톤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소각장과 발전설비, 또 17만톤 규모의 매립장으로 이뤄졌으며 지난 2008년 시비 335억원과 특별교부세 20억원 등 355억원을 투입해 완공됐다.하지만 소각장 설계 용량에 턱없이 모자라는 달성산업단지 쓰레기 발생량으로 인해 지난  10년 동안 한 번도 가동하지 못했으며 공단에서 발생하는 소량의 쓰레기는 성서소각장이나 방천매립장에서 처리했다.대구시는 2008년 6월 달성 2차 산업단지를 조성하면서 폐기물 발생량을 하루 53.6톤으로 추정하고 이에 맞는 용량의 소각장을 설치했지만 실제 폐기물 발생량은 1일 7~8톤에 불과했다. 이처럼 거액의 예산이 투입된 쓰레기 자원회수시설이 방치되면서도 시설의 시운전과 보수 등 유지관리비로 완공 후 지금까지 50억여원을 사용했다.시설이 장기간 사업목적에 맞게 이용되지 못하자 지난 2013년 감사원이 감사를 벌인 뒤 기관주의 조치했다. 대구시의회도 대구시의 무책임한 행정을 질타했다.또 2014년에는 시설 유지보수를 맡은 시공사가 관리소홀로 설비들이 고장 났는데도 설계변경으로 수리비를 지원하려다 관계공무원들이 징계요구를 받았다.하지만 대구시는 해당 공무원에 대해 인사기록에도 남지 않는 불문경고 조치를 내렸는가 하면 오히려 승진조치를 한 경우도 있었다.문제는 앞으로도 쓰레기 자원회수시설이 정상적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낮다는 점이다. 대구시가 의뢰한 시설 활용방안 용역 조사 결과가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지만 추가적인 예산낭비를 막기 위한 시설 폐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소각시설과 발전설비는 아예 철거하고 매립장은 쓰레기 재활용품 선별장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대구시 안팎에서는 반복되는 예산낭비를 막기 위해서 정책에 대한 철저한 사전 타당성 검토는 물론 책임행정 강화를 위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