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원전 해체 시장이 외국에 넘어갈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같은 지적에 산업통상자원부는 원전 해체 인력 양성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윤한홍 의원은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통해 현재 국내 원전 해체 분야 인력 규모는 100여명에 불과하다고 11일 밝혔다. 프랑스가 1000명 이상을 보유한 점과 비교하면 10분의 1 수준이다. 원전 1기 해체 때 피크 인력 수요는 연간 600여명씩 늘어날 전망이다. 문제는 3년 뒤인 2022년 1000명까지 수요가 증가한다는 점이다. 3년 만에 900명을 늘려야 하는 셈이다. 2029년에는 4383명까지 원전 해체 수요가 급증한다. 윤 의원은 “원전 해체 분야에 획기적인 인력 확충의 노력이 없다면 국내 원전 해체를 외국에 맡겨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원전산업 생태계 개선방안, 원전 기술인력 수급 및 효율적 양성체계, 원전지역 경제활성화 연구’에 따르면 원자력 전공 기피 현상은 가속화할 전망이다. 현재 500명 수준인 국내 원자력 전공자가 2030년 200명 수준을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윤 의원은 “탈원전으로 원전 산업 전체가 죽어 가는데 누가 원전 해체 시장에 뛰어들겠느냐”며 “안전성을 이유로 탈원전 정책을 추진한다면서 원전 해체 전문가가 부족해 안전한 원전 해체가 위협받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산업부는 한수원과 원자력산업회의가 국내 원전해체 산업에 필요한 인력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민간 사업자 주도하에 인력양성을 추진해 오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2014년부터 올해 7월말 현재 한수원 및 원전해체 관련 중소기업 인력 786명을 대상으로 원전해체 교육을 실시했고 향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국내 원전해체 전문인력 현황과 수요전망 관련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며 “이를 토대로 원전해체 관련 산업계 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인력양성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