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지난해 전국 지자체 처음으로 야심차게 추진했던 주4일제 근무가 시행 1년을 맞아 물거품으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다.경북도는 올해 초까지만 해도 이 제도를 모든 출자출연기관에 도입하겠다고 의지를 과시했었다.그러나 23일 현재 30개 출자출연 기관 중 주4일제 근무를 도입한 곳은 지난해 4개 기관 14명보다 줄어든 6개 기관 10명에 불과하다. 이 마저도 입사때부터 주4일 근무하는 신규채용형은 6명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주5일 근무로 바뀔 수 있도록 하는 전환형으로 채용됐다.앞으로 주4일제 근무 직원을 뽑겠다고 적극 나서는 기관도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주4일제 근무는 일자리 나눔 차원으로 경북도가 전국 최초로 지난해 5월부터 시행해왔다. 주4일제 근무직원은 5일제 근무의 80% 임금을 받는다. 경북도는 5일제 근무자 4명 자리에 4일제 5명을 채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살려 이 정책을 강력히 밀어부쳤다. 출자출연 기관은 물론 도내 화장품 기업에도 이를 적극 권장해 지난해 이들 기업 22개 업체가 50명을 채용했다. 올해는 60명을 채용하겠다는 목표까지 세워놨었다. 하지만 올해들어 지금까지 주4일제 직원을 채용한 곳은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경북도의 의뢰로 이에 대한 연구용역을 수행한 한 노무법인에 따르면 이 제도가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기존 직원들과의 위화감, 임금 및 승진 등에서의 불이익 우려, 4일제 직원이 없는 날 기존 직원이 4일제 직원의 업무를 떠안아 나타나는 기존 직원들의 불만 고조 등으로 나타났다.한 기관의 경우 주4일 근무제 시행은 하고 있으나 노조의 반대로 신규채용이 아니라 전환형으로만 4명을 채용하고 있었다. 노조는 기존 직원과의 갈등을 이유로 주4일제 직원 채용을 반대하고 있었다.또 다른 기관도 업무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고 노조가 반대해 주4일제 도입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어떤 기관은 경영진은 주4일제 취지에 공감해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었으나 인사 담당자는 여러가지 애로사항을 토로했다. 4일제 근무로 연장근로 체크에 착오가 발생했고, 금요일에 교육이나 워크숍이 있을 때 주4일제 인력은 참석을 못하고 휴일에 참석을 해야 하는데 별도의 보상이 없어 시행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지적했다. 또 주4일제 직원이 쉬는 금요일에 기존 직원이 결재를 부탁하는 전화를 해서 처리하는 일도 있었고, 한창 바쁜 날에는 주4일제 직원에게 출근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한 일이 있는 등의 여러 갈등 사례를 소개했다. 이 기관의 주4일제 직원 3명 중 2명은 전일제 전환을 원했다.주4일제가 비교적 잘 활용된다는 한국국학진흥원 조차도 상당수의 주4일제 직원들은 전일제 전환을 희망하고 있었다. 이 법인이 기존 근로자와 인사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종합한 결과 △주4일제의 순기능을 이해하지만 정작 본인은 주4일 근무를 원치 않고 있으며 △주4일제의 가장 큰 문제는 임금 감소와 직무 구분였고 △기관 차원에서는 주4일제가 성과향상이나 인사문제 해소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따라 이 법인은 “현 상황에서는 주4일 근무제를 출자출연 기관 모두에 확대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경북도 역시 이철우 지사 취임 후 이 제도 확대에는 소극적인 면을 보이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