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생명과학부 남정석 교수 연구팀이 신약재 연구를 통해 암의 발생과 재발 원인인 암줄기세포를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전략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암의 조기진단과 향상된 치료법으로 인해 암환자의 생존률은 크게 향상됐지만, 여전히 많은 환자들이 항암치료 이후 전이로 인한 재발로 고통을 받고 있다.  남 교수 연구팀은 구충제로 널리 사용되던 니클로사마이드(Niclosamide)의 새로운 치료표적을 발굴해, 항암제를 투여해도 살아남는 암 줄기세포를 제어할 수 있는 치료전략을 찾아냈다. 이는 악성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실험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남 교수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구충제로 널리 사용되던 니클로사마이드 약물이 윈트(Wnt) 신호를 효과적으로 억제해 암줄기세포의 형성과 증식을 제어하는 현상을 발견하고 그 작용기전을 연구했다. 그 결과, Doublecortin-like kinase 1(DCLK1)이 크게 두가지의 동형단백질로 존재하는데, 그 중 DCLK1-B가 암줄기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며, 암줄기세포의 형성과 증식, 항암치료 저항성에 필수적인 요소임을 밝혔다. 연구팀은 사람의 대장암 발생기전과 유사한 염증성 대장암 동물모델(AOM/DSS)에서 니클로사마이드의 우수한 효과를 검증했다. 니클로사마이드를 통한 DCLK1-B의 발현억제는 암줄기세포의 형성을 억제해 암이 발생하는 빈도를 낮추는데 성공했다. 또 환자유래 암조직을 이식한 동물 모델(PDX)에서는 니클로사마이드 치료를 받은 암조직에서 암줄기세포의 비율이 현저하게 낮아졌을 뿐만 아니라, 암을 재형성하는 암줄기세포의 능력도 낮추는데 성공했다. 남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니클로사마이드가 DCLK1-B를 통해 암줄기세포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기전을 밝혔고, 이러한 치료전략이 향후 암의 발생을 예방하고 악성 암을 치료하는 항암치료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