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회장이 구속되는 등 초유의 경영위기를 겪었던 DGB금융그룹이 이번에는 꼼수(?)인사로 또 다시 구설에 오르고 있다.2일 DGB금융그룹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1일 DGB자산운용 신임 대표이사로 강면욱 전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장을 내정, 주주총회를 거쳐 선임할 계획이었으나 주총 개최가 잠정 연기 되면서 무산됐다.이유는 강 전 본부장의 경우 그가 소속됐던 기금운용본부 업무와 DGB자산운용의 업무가 연관이 있었기 때문이다.DGB자산운용은 연기금를 위탁·운영 업무하고 있어, 공직자윤리법 규정에 따르면 국민연금 기금 운용본부장의 경우 퇴직 후 3년간 금융기관 취업이 제한된다.특히 이번 강 전 본부장 선임 과정에서 DGB금융그룹이 보인 행태에 비난이 더해 지고 있다.DGB금융그룹은 강 전 본부장이 공직자윤리법의 취업제한이 적용되기 하루 전인 지난해 12월 31일 주총을 열어, 선임하려고 했다는 점이다. 실제, DGB자산운용의 경우 올해 1월1일부터 퇴직공직자 취업제한대상 영리 사기업체로 지정·고시됐다. 앞서 DGB금융지주는 대표 내정 전 정부 인사혁신처에 법리 해석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꼼수(?) 인사를 하려했다는 의혹이다.이에 앞선 지난해 12월 27일 단행된 지주와 은행 임원 승진인사에서도 잡음이 일었다.당시 임원인사에 발표 이틀전인 25일 승진 내정자들에게 승진사실을 문자로 알렸다가, 다음날인 26일 비자금 조성에 연류, 기소된 임원 2명을 탈락시키고 다른 인사로 교체하는 소동이 벌어졌다.DGB금융그룹은 지난해 5월 김태오 회장 취임과 함께 인재육성프로그램인 DGB-하이포 시스템을 도입, 인사부분의 혁신을 이뤄내겠다고 공언했었다. 하지만 최근 잇따른 인사 잡음과 자격 논란 등으로 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그룹의 위기관리 능력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지역 금융계와 재계 등 복수의 관계자들은 “DGB금융그룹은 물론 지주 이사회 등이 현재 DGB금융이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경영위기 극복이나 조직 구성원 치유, 지역민 신뢰회복 보다는 조직장악 등 특정 목적에 매몰된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면서 “이러한 혼란을 부추기거나 방조하는 세력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한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