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지난해 ‘경북형 사회적경제 청년일자리 사업’에 참여한 기업과 고용청년을 대상으로 심층 설문조사를 한 결과 당초 사업목적인 ‘청년실업 해소’와 ‘지역정착’에서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 사업은 지난해 7월부터 행정안전부의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제1유형으로 경북도가 시행하고 있는 사회적경제기업을 활용한 청년고용 프로젝트다. 경북도가 최근 참여청년 17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고용청년의 76.4%가 이 전에 취업준비/무직 상태였던 것으로 나타나, 정부 보조금을 지렛대 삼아 임금수준이 낮은 기업의 기존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는 당초 우려와는 달리 실업상태의 청년들을 취업시키는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업 참여청년 가운데 남성이 52.8%로 나타났고 평균 연령은 30.6세로 20대가 전체의 46.7%이며, 미혼 69.7%, 대졸 이상이 72.5%를 차지했다. 예비 또는 인증 사회적기업에 전체의 65.7%가 취업했다.청년들이 주로 희망하는 업무는 회계·인사·교육 등 경영·지원직(23.0%)이 가장 높았고 서비스직(19.7%), 영업·유통직(17.4%), 생산·연구직’(12.4%) 순으로 나타났다. 희망 연봉은 평균 3064만원으로 남성, 30대 이상 연령층, 사업 전 취업상태가 취업준비/무직층, 주 40시간 초과 근무층에서 희망수준이 높았다.직업 및 직장 선택은 ‘직무 및 업무’(26.4%)와 ‘근로조건’(25.8%)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년 취업의 주된 애로사항으로 ‘직무관련 경험이나 경력’(44.4%)을 꼽았고 ‘기업의 지역 편중’(20.1%), ‘외국어, 자격증 등 스펙’(13.0%) 등 순이었다.참여기업 107개사에 대한 전수조사에서는 ‘2015년 이후’(56.1%) 설립된 기업이 가장 많았고 평균 업력은 4.7년으로 창업 중반기 정도의 기업이 많았다. 사회적기업이 전체의 60.7%로 가장 높은 기업유형을 보였으며, 마을기업(19.6%), 협동조합(12.1%)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평균 매출액은 11억3000만원으로 매출액 ‘1~5억 미만’(47.1%)이 가장 많았고 평균 근로자 수는 9.7명이었다. 이 사업으로 채용한 인력의 84.1%가 상용직(정규직)으로 채용돼 사회적경제 기업이 여성·청년 등의 고용과 직업 안정화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기업이 인재를 채용할 때는 ‘동기와 열의’(59.8%)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현재 근로조건에 대한 수용여부’(20.6%), ‘경력’(11.2%), ‘학력 등 스펙’(3.7%) 순이었다.채용을 희망하는 주된 업무로 마케팅·판매·고객지원 등 ‘영업·유통직’(42.1%)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생산 및 품질관리, 연구개발 등 ‘생산·연구직’(18.7%)이, 회계·인사·교육 등 ‘경영·지원직’, 승무원·호텔리어·텔러 등 ‘서비스직’(각 13.1%) 순으로 나타나 청년들이 희망하는 업무와는 차이를 보였다.이 사업에 참여하게 된 주된 이유는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35.8%)와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찾기 위해서’(19.8%) 비중이 높아 창업 중반기에 들어선 기업의 성장을 위한 인재 채용을 크게 원하고 있음을 보였다.월 평균 급여는 209.7만원으로 ‘200만~220만원 미만’(50.5%)이 절반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220-240만원’(31.8%), ‘200만원 미만’(14.0%), ‘240만원 이상’(3.7%) 순이었다.경북도는 사업에 참여한 기업과 청년 모두 직무관련 경험이나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개선을 요청해 올해 이 사업에 대한 전문교육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이철우 지사는 “지난 달 12일 열린 경북도 사회적경제 민관 합동 워크숍에서 보인 사회적경제에 대한 청년들과 기업들의 큰 관심 및 참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청년과 사회적경제에 대한 지원을 늘리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