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은 한국형 원전 핵심기술인 냅스(NAPS)의 해외 유출 의혹에 대해 정상적인 허가 절차를 밟았다고 18일 밝혔다. 앞서 한 언론은 “한국형 경수로 APR 1400의 냅스 프로그램이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원자력통제기술원(KINAC)의 사전허가도 없었다”고 보도했다. 한수원은 이날 해명자료를 통해 “2015년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시뮬레이터 공급계약에 따라 냅스 프로그램 12개 중 9개를 주계약자인 아랍에미리트원자력에너지공사(ENEC)에 제공했다”고 전했다. 또한 제작사인 한국전력기술의 동의와 원자력통제기술원(KINAC)의 허가도 받았다고 주장했다. 해명자료를 보면 한국전력기술은 2018년 말 공식 계약을 통해 UAE 원전 시뮬레이터 업그레이드를 목적으로 냅스 프로그램 전체를 계약사인 WSC(Western Service Cooperation)에 제공하기도 했다. 당시에도 원자력통제기술원의 수출통제 심사 절차를 거쳤고, 냅스 프로그램은 ‘비전략물자’로 판정받기도 했다.한수원 퇴직 직원이 2015년에 APR-1400 설계도와 한국형 경수로 핵심기술을 미국과 UAE로 넘겼다는 의혹도 있다. 이에 한수원은 “구체적인 정보 부족으로 확인이 어렵다”며 “다만 퇴직직원은 2015년에 이직했기 때문에 탈원전 정책과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한수원 퇴직 직원이 근무하던 D사가 한수원으로부터 받은 기밀문서를 넘긴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이 회사가 신고리 5, 6호기의 시뮬레이터 설계용역을 맡은 뒤 W사에 일부 설계를 의뢰하는 과정에서 문서가 유출됐다는 것이다.한수원은 “신고리 5, 6호기 시뮬레이터 설계용역을 발주하면서 자료에 대한 제3자 제공을 금지하는 계약조건을 명시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독립된 공간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단절된 상태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유출 방지 제도를 마련해뒀다”며 “USB나 메일 형태로 외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기록시스템도 운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에앞서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최근 ‘한국형 원전의 핵심 기술이 아랍에미리트(UAE)와 미국 원자력발전회사에 유출됐다’는 제보를 받고 18일 국가정보원 등 수사기관에 신고했다. 국정원 등은 2015년 UAE 바라카 원전 운영사인 나와(Nawah)로 이직한 한수원 출신 한국인을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유출이 의심되는 것은 한국형 원전 ‘APR-1400’의 주 제어반 설계도와 제작 기술, 세부 자료 등이다. 수사 선상에 오른 한수원 출신 한국인은 국내에서 원전 설계 작업 중 취득한 자료를 폐기하지 않고 보유하고 있다가 이직하면서 유출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또 이 한국인이 나와로 이직하기 전 근무했던 민간 기업은 원전 시뮬레이터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미국 원전사에 관련 기술을 노출했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이와 관련해 한 산업부 관계자는 “정확히 어떤 기술이 얼마나 유출됐는지 아직 파악하지 못했으며 국정원 등의 수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전했다.원전의 정상 가동 여부를 판단하는 소프트웨어인 ‘냅스(NAPS)’도 함께 유출된 것으로 전해졌지만 이는 한수원이 공식 절차를 밟아 제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냅스를 제공하기 전 제작사인 한국전력기술 및 원자력통제기술원의 수출 통제 심사 절차를 거쳤다는 게 한수원의 입장이다.한수원은 기술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 관리 및 자료 유출 기록 시스템 등을 운영하고 있으나 이번 사고로 관리의 허점이 드러났다. 한수원은 “설계 자료의 제3자 제공을 금지하는 계약 조건을 명시하고 유출 방지 제도도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자료 무단 유출 관련 수사가 이뤄질 경우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