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박물관·미술관을 2023년까지 186곳을 더 설립, 박물관은 1013개, 미술관은 297개에 달할 전망이다. 2019년 현재 전국 박물관·미술관은 2018년 기준 총 1124개관이다. 박물관 873개소, 미술관 251개소로 박물관이 미술관보다 약 3.5배 많다. 정부는 전국의 박물관·미술관 1개관당 인구수를 4만 5000 명에서 2023년까지 3만 9000명 수준으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최근 5년간 국내 박물관·미술관의 수는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했지만 (2013년 911개 → 2018년 1124개), 1개관당 인구수 기준으로 아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가 수준에까지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같은 내용으로 한 ‘박물관·미술관 진흥 중장기계획(2019~2023)’을 24일 발표했다. 문체부는 박물관·미술관 진흥과 효과적 관리는 우리 문화 보존과 더불어 문화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필수적인 국가적 과제로 대두됐다고 밝혔다. 이에 국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더욱 가까이 찾는, 내실 있는 박물관·미술관을 만들어 2023년까지 30% 수준으로 높여 더 많은 사람이 일상생활 속에서 박물관·미술관을 찾도록 할 계획이다.   ‘2018 문화향수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박물관·미술관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 100명당 16.5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5년간 박물관·미술관이 3배 이상 증가하면서, 지역주민의 평생문화·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이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다. 문체부는 중장기적인 박물관·미술관 진흥정책을 통해 박물관·미술관이 지역공동체에 사회·문화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문체부는 이번 계획은 박물관·미술관이 우리 삶의 핵심 문화기반시설로 거듭나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동시에, 그동안 분리, 추진했던 박물관, 미술관 진흥시책을 처음으로 포괄해 종합적인 발전정책을 수립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긴밀하지 못했던 박물관과 미술관의 협력을 강화하고,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 의거해 각종 지원과 평가 등도 미술관도 포함하여 추진하게 된다.이번 계획은 ‘문화로 삶을 풍요롭게 하는 박물관·미술관’을 비전으로 △공공성 강화, △전문성 심화, △지속가능성 확보라는 3대 목표 아래 5개 전략과 16개 핵심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5개 전략은 △공공 문화기반시설로서의 위상 강화, △모두가 누리는 박물관·미술관, △전문적 기능 및 역량 강화, △지속가능한 운영기반 마련, △협력을 통한 시너지 제고등이다.현재 제1종 박물관은 분야별 소장품과 학예인력 여부에 따라 종합박물관과 전문박물관으로 나뉘어 있는데 구분의 경계가 모호하고 실효성 또한 적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종합-전문 박물관의 구분을 없애고 일원화를 추진한다.아울러 동물원, 수족관 등, 다른 법률에 규정된 시설과 ‘문화의 집’과 같이 박물관으로서 기능이 약화된 시설은 박물관에서 제외하는 등 박물관 유형을 간소화한다. 학예사 자격증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자격증 취득요건이 되는 근무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대상기관(경력인정대상기관)을 확대하고, 학예사 자격증과 국공립기관 채용과의 연계를 강화한다. 한편, ‘박물관·미술관정책위원회’를 통해 박물관·미술관 설립, 운영, 평가 등에 관한 정책의 효과성과 전문성을 높인다. 7월 1일부터는 박물관·미술관 입장료 소득공제도 시행되어, 국민들의 박물관·미술관 이용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계획을 통해 전국의 박물관·미술관이 우리 국민들에게 더욱 자주 찾고 싶은 친근하고 유익한 문화시설로 거듭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 시도별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고, 관련 법·제도 개선과 예산 확보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