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이전지가 결정되는 대구 경북 통합신공항은 항공산업, 물류, 유통, 비즈니스, 관광 등을 아우르는 지역의 산업 및 관광 중심공항으로 성장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경북도에 따르면 통합신공항 건설 규모와 배치 등 구체적인 계획 수립을 위한 대구시의 ‘통합신공항 기본계획 용역’과 국토교통부의 ‘사전타당성검토 용역’이 내년부터 시작된다.이에 앞서 경북도는 통합신공항 입지선정 이후 기본계획 단계에 지역민이 희망하는 신공항건설을 위해 지난 8월부터 ‘대구 경북 통합신공항 필요성 및 발전방향 연구용역’에 들어가 최종보고회를 16일 도청 회의실에서 열었다.한국항공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한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현재 대구공항은 소음과 환경, 시설 포화 문제 등이 나타나고 있고 대구 경북권 거점공항 역할 요구가 커지면서 이전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통합신공항은 항공산업, 물류, 유통, 비즈니스, 관광 등을 아우르는 지역의 산업 및 관광 중심공항으로 성장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항공수요는 통합신공항 개항시점(2026년) 490만명을 시작으로 2050년에는 950만명에 이르러 항공여객 1000만명 시대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공항의 시설 규모는 활주로 3200m, 여객터미널 69000㎡, 계류장 22만㎡ 규모가 돼야 하고 장래 확장성도 함께 검토돼야 할 것으로 나왔다.현재 대구공항의 규모는 활주로 2755m, 2743m 각 1개씩과 여객터미널 2만7088㎡, 화물터미널 844㎡, 계류장 5만1182㎡다.  신공항 건설에 따른 배후신도시는 국제항공업무지구, 항공물류지구(항공물류복합단지, 항공MRO단지), 항공복합산업지구(항공복합산업단지, 국제업무단지, 에어시티)로 세분화하고 단계적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했다.배용수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은 “통합신공항 건설사업은 대구 경북 4개 권역(대구, 포항, 구미, 신공항)을 하나의 광역경제권으로 묶어, 전세계와 직접 연결하는 네트워킹 및 허브 역할을 할 것”이라며 “기업 투자유치, 관광활성화, 인구유입 등을 통해 지역에 상상 이상의 경기 부양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