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20일 식량위기 대응책으로 곤충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경북도에 따르면 곤충은 40%에서 많게는 70%까지 양질의 단백질과 다양한 비타민, 무기질 등을 함유하고 있다.2013년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식용곤충을 ‘작은가축’으로 이름 붙이는 등 이미 전 세계가 미래 식량자원으로 주목하고 있다.단백질 1kg 생산 때 가축은 10kg의 사료가 필요하지만 곤충은 1kg만 필요하고 가축:곤충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850:1, 물 사용량은 1500:1로 경제적·환경적 가치로도 곤충이 월등하다.경북에서 2018년 곤충사육 농가수는 427호(전국 2318호)로 전국에서 두 번째다. 매출액은 50억원(전국 375억원)에 달한다. 경북에서는 식용곤충 사육 가구가 많아 흰점박이꽃무지(꽃벵이)와 갈색거저리(고소애) 사육농가는 340호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국내 곤충시장은 2018년 2648억원에서 올해 3616억원, 2030년에는 6309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그러나 현재의 국내 곤충산업은 식용보다는 약용으로 제한적으로 활용돼 진액, 환, 분말 등 단순가공 형태의 제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고 생산-가공-유통의 모든 과정을 농가가 직접 수행해 높은 가격대가 이뤄지면서 소비자의 접근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유통 활성화 부진이라는 벽에 부딪혀 곤충산업 전반의 성장 폭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경북도는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곤충산업을 식량안보 차원에서 집중 육성하기로 하고 곤충산업특화단지 조성, 곤충제품 비대면 유통체계 구축 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곤충산업특화단지에는 곤충산업 혁신지원센터, 첨단융합형 전처리-가공-유통 시설 등이 들어선다. 이에 따라 농가는 사육을 전문화해 생산효율을 높이고 가공과 유통은 전문 기업이나 기관이 맡아 분야별 경쟁력을 높인다는 것이 경북도의 방침이다.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경북의 곤충산업은 식용곤충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해왔다. 코로나19 이후 식량안보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 떠오를 것”이라며 “곤충은 현시점에서 가장 실현 가능한 대체 단백질원이다. 체계적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