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도내 SOC 사업 가운데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키로 하고 대통령과 국무총리, 국회와 정부 각 부처를 상대로 끈질기게 사업추진을 건의하면서 지금까지 지지부진했던 이 사업이 속도를 낼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8일 경북도에 따르면 전국에는 인천 7개, 부산·경기·경남 각 5개, 전남 4개, 기타 9개 등 모두 35개의 해상교가 있지만 경북은 바다를 낀 전국의 자자체 중 유일하게 해상교가 없다.또 경북은 국토의 5분의 1로 전국에서 제일 넓지만 면적당 도로연장은 전국 최하위다. 이 때문에 경북도는 동해안권 발전의 핵심 기반시설이자 환동해시대 남북협력과 북방교역의 교두보 역할을 하는 동해고속도로의 단절구간 연결을 위한 영일만횡단구간 고속도로(길이=18km, 건설비용 1조6189억원)가 반드시 건설돼야 한다는 입장이다.영일만 횡단구간 고속도로는 포항시 남구 동해면에서 북구 흥해읍까지 바다를 건너는 해상교량 설치로 부산에서 포항을 거쳐 유럽으로 연결되는 아시안 하이웨이 6번 노선(AH6)의 핵심축이다.경북도는 현재 추진 중인 포항~영덕간 고속도로(길이=31km, 건설비 1조3179억원)의 총 사업비 변경으로 횡단대교가 건설되도록 국회와 중앙부처 등을 찾아가 지속적으로 설득하고 있다.동해고속도로는 부산~속초 구간 389.5㎞로 부산~울산 구간(47.2㎞)은 2008년, 울산~포항 구간(53.6㎞)은 2016년, 삼척~동해~속초(121.9㎞)는 구간별로 공사를 진행해 2016년 개통됐다.현재 포항~영덕 구간(30.9㎞)은 총 사업비 1조3179억원을 투입해 2016년부터 2023년 준공을 목표로 공사 중이다.단절돼 있는 영일만 횡단구간은 포항시 남구 동해면에서 북구 흥해읍까지 전체길이 18㎞로 해상교량 9㎞, 터널 2.9㎞, 도로 6.1km로 총 사업비는 1조6189억원 규모다.이 사업은 지난 2008년 정부의 ‘광역경제권발전 30대 선도프로젝트’에 선정돼 국가 지역균형발전 측면에서 건설 당위성이 거론되기 시작했고, 2009년 기획재정부에서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해 사업추진을 결정한 바 있다. 이어 2011년에 국토교통부 타당성 조사가 이뤄졌고, 영일만을 횡단하는 해상 횡단안이 최적안으로 도출됐다. 그러나 2013년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간의 총 사업비 협의 과정에서 국가재정부담 및 국도대체우회도로 활용 가능성 등의 사유로 영일만 횡단구간(18km)을 제외한 포항~영덕(30.9㎞)구간만이 확정돼 현재 공사가 2015년 기획재정부로부터 영일만 횡단구간은 포항~영덕간 고속도로의 계속사업에 해당된다는 판단으로 사업추진에 긍정적인 분위기가 조성됐으나, 2017년 기획재정부가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KDI. 한국개발연구원) 완료를 기점으로 현재까지 추진이 오리무중인 상태다.경북도에 따르면 부산~울산~포항간 고속도로 개통 이후 국도대체우회도로(우복교차로~유강대교)를 이용하는 교통량은 지난 2014년 하루 평균 2만3000여대에서 지난해에는 4만1000여대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런 추세라면 앞으로 영덕~포항 간 고속도로가 개통되는 2023년에는 교통량 증가로 교통체증은 물론 물류비용 증가 등 경제사회적 손실이 우려되고 있어 하루 빨리 대교를 건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그러나 이는 대형 국책사업이어서 정부차원에서 전폭적인 지원이 없으면 실현 가능성이 낮다.해운항만 전문가들은 “지금까지 조 단위가 투입돼 계속 건설 중인 영일만항을 잘 활용해야 한다. 동해안 유일의 국제 컨테이너항만인 영일만항을 북방 진출의 거점항만으로 육성해 나간다는 큰 그림을 그리는데 영일만 횡단대교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이철우 경북지사는 “지진으로 고통 받고 있는 포항을 비롯한 경북 지역의 뉴딜사업으로 영일만 횡단대교 사업만한 것도 없다”며 “하늘길, 바닷길을 연계하는 통합신공항~영일만항을 경북 물류 양대축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은 경북에서 어느 SOC보다 가장 먼저 건설돼야 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