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김해신공항 재검토 결과가 나오자 권영진 대구시장이 가덕도신공항 추진설에 ‘천인공노할 일’이라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부산경남과 대구경북 지역 간 갈등이 재차 불거질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국방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구 군 공항 이전 사업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지난 8월 국방부와 대구시, 경북도 간 합의에 따라 2028년 대구·경북 지역만을 위한 통합 신공항이 들어설 예정이다.국방부는 지난 8월 28일 대구 군 공항 이전부지 선정위원회를 열어 이전 공동후보지인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을 대구 군 공항 이전부지로 의결했다.이로써 대구 군 공항이 대구시 동구를 떠나 의성군과 군위군으로 이전하게 됐다. 새로 조성된 군 공항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으로 재탄생한다.대구시는 국방부, 미군 등과 협의를 거쳐 내년께 공항 이전 기본계획을 세운다.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새 공항 설계가 이뤄지고 2024년부터 4년간 공사 후 2028년께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이 개항할 전망이다.신공항 부지 면적은 15.3㎢(463만평)다. 기지 면적은 11.7㎢(353만평), 소음 완충 구역 면적은 3.6㎢(110만평)로 예상된다.대구 군 공항의 모태는 일제강점기 때 일본군이 경북 달성군 동촌면(현 대구시 동구 지저동) 일대에 조성한 동촌비행장이다. 해방 후 6·25전쟁을 거쳐 1958년 공군 제11전투비행단이 이곳에 배치됐다. 부대 일대는 공군 비행장 또는 K-2로 불렸다. 이후 대구 도심 팽창에 따라 군 공항으로 인한 소음 피해와 건축물 고도 제한으로 인한 주민 생활권 침해 등 문제가 제기됐다. 소음 피해 배상액으로 국가 재정 부담이 커지자 2013년 4월 군 공항의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됐다. 대구 군 공항 이전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은 2016년 7월 박근혜 대통령이 대구 공항 이전을 언급하면서 공론화됐다. 같은 해 8월 정부는 대구 공항을 군공항·민간공항을 통합해 이전하기로 하고 후보지 선정에 착수했다.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개항 시점은 앞당겨질 수 있었지만 경북 지방자치단체 간 다툼 탓에 개항이 5년 늦춰졌다.국방부는 2018년 3월 공항 이전 후보 지역을 경북 군위군 우보면(단독), 그리고 경북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공동) 등 2곳으로 정했다. 당초 2018년에 착공해 2023년 개항할 계획이었지만 이전사업비 문제로 대구시와 국방부 간 협의가 차질을 빚었다.   우여곡절 끝에 올 1월 이전부지 선정을 위한 주민 투표가 실시됐지만 이 역시 난항을 겪었다. 투표 결과 공동후보지와 군위군 단독후보지 중 공동후보지가 이전부지로 뽑혔지만 군위군이 이에 불복했다가 공동후보지 유치를 받아들였다. 이처럼 수년에 걸친 진통 끝에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대구시장이 영남권 신공항 사업에 관심을 가지자 군 안팎에서는 불안해 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영남권 신공항을 둘러싼 정치권 공방 속에 산고 끝에 도출된 대구 군 공항 이전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계획이 틀어질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실제로 국방부는 그간 이 계획과 관련해 정치권의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국방부는 군 공항 이전 추진 과정에서 대구경북 출신 국회의원들로부터 압박을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국민의힘 소속이 대부분인 대구경북 의원실 측으로부터 지역 홀대론 제기와 함께 통합신공항 추진 속도를 높이라는 요구가 이어졌었다. 군위군과 의성군 간 갈등이 장기간 해소되지 않자 국방부가 강행 처리를 해야 한다는 비공식적인 압박까지 국회 쪽으로부터 들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대구 군 공항 이전,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영남권 신공항 사업과 관계 없는 사업이라는 점을 재삼 강조하고 있다. 그간 대구시나 경북도 역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논의 과정에서 영남권 신공항 문제를 거론하거나 고려한 적이 없었다는 게 국방부 측의 설명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대구 군 공항 이전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