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8년까지 대구시 식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원으로 이전한다. 울산 반구대암각화 보호를 위해 운문댐 물 일부를 울산시에 공급한다.낙동강 하류 지역에선 복류수와 강변여과수를 개발해 경남 중동부 지역에 우선 공급한다. 부산에는 경남 지역에 공급한 후 남은 일부 식수와 회동수원지 개량 등으로 확보한 식수를 추가로 배분한다.환경부에 따르면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2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을 의결했다.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대통령 소속 국가물관리위원회 산하 위원회다. 유역 내 물관리 사항을 심의·의결하기 위해 설립됐으며, 정부, 공공기관, 광역지자체, 시민대표, 농민대표, 전문가 등 43명이 참여한다. ▣2028년까지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착공 전까지 주민 동의이날 의결 방안에 따라 정부는 2028년까지 낙동강 취수원을 다변화한다.낙동강 상류 지역 구미 해평취수장(30만톤), 추가고도정수처리(28만8000톤) 등으로 식수를 확보해 대구에 57만톤, 경북 지역에 1만8000톤을 배분한다.울산시에는 운문댐 물을 공급해 반구대암각화 보호에 나선다.하류 지역 합천 황강 복류수 45만톤, 창녕 강변여과수 45만톤을 개발해 경남 중동부에 48만톤을 우선 공급하고, 부산에도 42만톤을 배분한다. 그 밖에 추가고도정수처리(43만톤), 부산 회동수원지 개량(10만톤)으로 확보한 53만톤을 부산 지역에 추가로 공급한다.이 같은 취수원 다변화로 영향받는 지역에선 주민 피해가 없도록 물 이용을 최우선 고려하고, 댐·취수원 운영 과정에서 주민 참여를 보장한다.이와 함께 상생기금을 조성해 일시 지원하거나 영향 지역 농·축산물을 우선구매 하는 등 영향 지역 주민을 지원한다. 수혜 지역에선 물이용부담금을 증액하거나 영향 지역에 상생발전사업을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한다.단, 취수원 다변화를 위한 사업 착공 전까지 객관적인 방법으로 주민 동의를 구해야 한다.환경부는 의결된 방안의 사업 비용과 적용 기술을 구체화하기 위해 올해 안에 타당성 검토와 기본구상 수립 용역을 착수할 예정이다. 사업 진행 과정에선 설명회, 토론회 등을 열어 지역 주민과 소통하고, 정책 수용성을 높일 계획이다. ▣낙동강 식수 의존도 높지만…수질 오염 따른 불신도 커낙동강 유역 지자체들은 먹는 물을 주로 본류에서 얻어 본류 의존도가 높다. 지난 2016년 기준 시·도별 본류 의존도는 부산이 88%로 가장 높고, 경남 51%(동부 82%, 서부 0%), 대구 66%, 경북 24%, 울산 8% 등이다.그러나 낙동강은 다른 지역보다 수질 오염도가 비교적 높아 식수에 대한 주민 불신이 높은 편이다. 지난해 기준 낙동강 물금 지역 수질(TOC)은 4.4㎎/ℓ로, 한강 팔당댐(2.2㎎/ℓ), 금강 대청댐(2.9㎎/ℓ), 영산·섬진강 주암댐(2.2㎎/ℓ)보다 높다. 특히 지난 30년간 상류 지역에서 유출된 페놀, 디클로로메탄, 과불화화합물 등으로 인한 수질 오염사고로 상·하류 지역 간 갈등이 이어져 왔다.환경부는 지난 2019년 4월과 8월에 각각 상·하류 지역 지자체와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1년 6개월간 연구 용역을 거쳐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을 마련해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했다.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이번 통합물관리 방안 의결로 낙동강 먹는 물 갈등 해결을 위한 단초를 마련하게 됐다”며 “낙동강 유역 공동체 이해와 배려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 향후 정책 이행 단계에서 유역 주민들과 보다 더 소통해 공감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이진애 공동위원장은 “낙동강 유역민들의 오랜 염원인 낙동강 수질 개선과 안전한 식수원 마련을 위한 큰 방향을 유역 협치(거버넌스)인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의결됐음을 뜻깊게 생각한다”며 “지역민 등 이해관계자 요구 사항이 보다 충실히 반영되고 내실 있게 진행돼 낙동강의 오랜 염원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