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24일 도청 화백당에서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 연구용역 완료보고회를 열고, 자문위원과 시군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최종 점검을 한다. 경북도는 23개 시군의 실태분석을 토대로 지방소멸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자 지난 4월부터 국토연구원에 8개월간 이 계획 연구용역을 추진했다. 도에 따르면 이번 연구용역은 △거주인구 기준의 양적확대 정책에서 벗어나 지역과 연을 맺고 지속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생활(관계)인구 활성화 △청년·중장년·외국인 등 다양한 세대가 지역에 성공적으로 정착하도록 세대 조화·통합 경북 만들기 △자연환경, 문화유산, 특산물 등 활용한 지역자원 활용 특화 △고령화 및 과소마을 주민들에게 동등한 삶의 질 보장을 위해 건강하고 편리한 생활공동체 조성 △생활권 구성 및 협력, 도농간 교류 등 지역 간 연대협력 및 관계 강화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인프라 기반 조성으로 새로운 미래 변화에 선제적 대비와 전환 등 6가지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경북은 저출생, 고령화와 인구유출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대구와 분리된 1981년 319만명이던 인구수가 2020년 기준 264만명으로 55만명이 줄었다. 지난 한 해에만 2만6000여명이 줄었다. 특히 수도권으로 청년유출이 심각해 지난 10년간 청년인구가 16만명 정도가 줄어든 반면, 고령인구는 10년간 16만명 정도가 늘어 22.4%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지난 10월 행정안전부가 지정·고시한 전국 인구감소지역 89곳 가운데 경북은 16곳으로 가장 많다. 전국의 89곳은 부산 3, 대구 2, 인천 2, 경기 2, 강원 12, 충북 6, 충남 9, 전북 10, 전남 16, 경북 16, 경남 11곳이다. 경북도는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소멸위기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전략마련을 위해 전국 최초로 도 단위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 수립 용역을 추진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이번 대응으로 인구감소와 청년유출로 인한 지역 활력 저하의 악순환 고리를 끊어 내고 새 도약의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며 “다양한 대응 정책들이 현장에 반영돼 사람이 모이는 활력 넘치는 지역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