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지역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양질의 일자리 등 다양한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대구경북지역의 인구감소·지방소멸위험 분석 및 시사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대구지역 인구는 238만5000명, 경북은 262만7000명으로 지역 총인구는 501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0년 이후 30만9000명이 감소한 수치다. 2047년까지 추가로 62만9000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대구 인구가 경북보다 더 가파르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령별로는 2000년 이후 50세 미만 인구가 감소했지만 50세 이상 인구는 증가폭이 확대되며 고령화가 가속됐다.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가 전국적으로 가파르게 상승하는 가운데 경북은 전국과의 격차가 점차 확대되고 대구의 노년부양비는 2020년부터, 노령화지수는 2016년부터 전국 수준을 상회했다. 경북도는 2020년 기준 지방 소멸 위험단계에 진입했다. 대구의 소멸 위험은 현재로서는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지만 2040년 전후로는 대구도 지방소멸고위험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기준 칠곡군을 제외한 경북 군지역 전체로는 이미 지방소멸 고위험단계에 진입했다. 최근 6년간 청송, 영양, 영덕, 청도, 고령, 성주, 봉화 등 7개군이 위험 진입단계에서 고위험단계로 이동했다. 대구경북의 혼인율과 출산율은 전국과 유사하게 고용 불안정, 자녀 양육 및 교육비 부담,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의 영향으로 2015년부터 가파르게 하락했다. 자연 증감의 경우 지역 내 출생아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2017년부터 인구가 자연 감소로 전환됐다. 사회적 증감의 경우 2011년 이후 순유출 규모가 확대되는 가운데 15세부터 29세까지 청년층의 유출인구 87.1%가 수도권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지역 인구의 순유출 이유는 직업, 교육, 주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및 청년층 유출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함께 고령화가 심화되며 지역경제 성장잠재력 약화, 노동생산성 저하 및 역내 소비시장 규모 축소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역투자요인 감소, 재정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대구와 경북의 가계소비지출은 2020년~2025년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며 대구의 가계소비지출이 경북보다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간소비에 의한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는 대구는 대략 2020년~2025년, 경북은 2025년~2030년 감소하기 시작하고 대구의 감소폭이 경북보다 가파를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른 대응방안으로는 청년층 등의 순유출 방지를 위해 신성장산업 중심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취업기회 제공 등이 필요하며 귀농, 귀촌인들을 대상으로 정주 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과 전문인력 중심 외국인 고용을 확대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근무 여건을 개선하고 인구감소 및 지역소멸위기 대응 시 중앙정부 정책에 주로 의존하기보다는 광역지자체가 지역 대학, 기업 및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며 주도적인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인구감소 심화, 지방소멸위험 확대 현황 및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 인구구조 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관계자는 "근무 여건을 개선하는 것은 출산율 제고 및 여성들의 경제 활동 참여 확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며 "각 지자체의 개별적인 대응이 주변 지자체와 제로섬 경쟁을 초래하지 않도록 광역지자체를 중심으로 인구정책 개발 및 집행이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