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지역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양질의 일자리 등 다양한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대구경북지역의 인구감소·지방소멸위험 분석 및 시사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대구지역 인구는 238만5000명, 경북은 262만7000명으로 지역 총인구는 501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0년 이후 30만9000명이 감소한 수치다. 2047년까지 추가로 62만9000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대구 인구가 경북보다 더 가파르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령별로는 2000년 이후 50세 미만 인구가 감소했지만 50세 이상 인구는 증가폭이 확대되며 고령화가 가속됐다.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가 전국적으로 가파르게 상승하는 가운데 경북은 전국과의 격차가 점차 확대되고 대구의 노년부양비는 2020년부터, 노령화지수는 2016년부터 전국 수준을 상회했다. 경상북도는 2020년 기준 지방 소멸 위험단계에 진입했다. 대구의 소멸 위험은 현재로서는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지만 2040년 전후로는 대구도 지방소멸고위험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기준 칠곡군을 제외한 경북 군지역 전체로는 이미 지방소멸 고위험단계에 진입했다. 최근 6년간 청송, 영양, 영덕, 청도, 고령, 성주, 봉화 등 7개군이 위험 진입단계에서 고위험단계로 이동했다. 대구경북의 혼인율과 출산율은 전국과 유사하게 고용 불안정, 자녀 양육 및 교육비 부담,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의 영향으로 2015년부터 가파르게 하락했다. 자연 증감의 경우 지역 내 출생아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2017년부터 인구가 자연 감소로 전환됐다. 사회적 증감의 경우 2011년 이후 순유출 규모가 확대되는 가운데 15세부터 29세까지 청년층의 유출인구 87.1%가 수도권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지역 인구의 순유출 이유는 직업, 교육, 주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및 청년층 유출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함께 고령화가 심화되며 지역경제 성장잠재력 약화, 노동생산성 저하 및 역내 소비시장 규모 축소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역투자요인 감소, 재정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민간소비에 의한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는 대구는 대략 2020년~2025년, 경북은 2025년~2030년 감소하기 시작하고 대구의 감소폭이 경북보다 가파를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른 대응방안으로는 청년층 등의 순유출 방지를 위해 신성장산업 중심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취업기회 제공 등이 필요하며 귀농, 귀촌인들을 대상으로 정주 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과 전문인력 중심 외국인 고용을 확대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전상기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