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은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연구를 위해 전국 1000명을 대상으로 정밀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상원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지난달 31일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코로나19 후유증 조사 현황 및 계획을 밝혔다. 기존 국립보건연구원이 국내 의료기관과 협력해 실시했던 선행 조사를 보면 확진자의 20~79%가 피로감, 호흡곤란, 건망증, 수면장애, 기분장애 등을 호소했다. 지난 1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만1615명의 코로나19 확진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19.1%가 후유증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했다. 이 단장은 “코로나19는 아직까지 전 세계적으로 후유증에 대한 연구가 충분치 않은 상황이며 기존의 지식만으로는 치료라든가 대응에는 한계가 있다”며 “따라서 보다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치료와 대응을 위해서는 표준화되고 정밀한 후유증 자료 확보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이 단장은 “주로 기저질환자, 중증 환자, 입원 환자 중심으로 후유증 조사가 진행돼 일반 성인에서의 후유증 자료는 아직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당국은 국내 14개 의료기관이 참여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울과 경기, 충청, 경상, 부산, 제주권에서 60세 미만 기저질환이 없는 확진자를 포함해 약 1000명을 대상으로 후유증 연구를 진행하기로 했다. 이 단장은 조사 대상 규모에 대해 “1000명은 일단 연구를 시작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숫자”라며 “빅데이터를 개방해 민간에서 훨씬 더 많은 후유증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민간과 같이 한다면 결코 부족하지 않은 연구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사는 확진 후 3개월, 6개월째에 세계보건기구(WHO)가 표준화한 방법으로 실시한다. 이 단장은 “보통 세계보건기구나 외국의 경우 후유증이라고 하면 12주, 약 석 달 정도를 언급하는 경우가 많고 석 달 이후 1~2개월 정도 더 발생할 수 있다고 분류하고 있다”며 “대부분의 증상이 12주를 경과하기 전에 사라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증상이 계속될 경우 전형적인 `롱 코비드`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당국은 올해 하반기에 중간 결과를 분석할 예정이다. 이 단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서 후유증에 대한 보다 명확한 정보가 확보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