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은 한국의 자연과 전통문화의 삶이 채워진 특별한 공간이다. 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한옥에서 우리 삶의 기록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종가가 특별한 이유는 집집마다 역사가 흐르는 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집에서 살다가 돌아가신 어른이 사셨던 삶의 자료로 (조상의) 유묵이나 문집, 현판 등 문화유산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동춘(60) 사진작가의 말이다. 이 작가는 서울에서 태어나 자라 경북 안동을 건넌방처럼 드나드는 사진작가다. 종가에 매료돼 종가 사람들과 종가의 삶터를 사진으로 기록해온 세월이 16년이다. 특히, 안동에서 한옥뿐 아니라 <관·혼·상·제>의 원형을 기록하는 작업도 빼놓지 않았다.  이 작가는 “종가의 사람들인 종손들의 삶과 의례의 공간은 지난 세월의 흔적이 오롯이 남겨진 소중한 문화유산”이라며 “종가를 맞이하는 것은 잊고 있던 유년의 추억과 조상들 삶의 흔적이 고스란히 펼쳐지는 마법과도 같은 풍경”이라고 말했다. 이 작가는 종가, 종택의 풍경과 문화유산을 한 장의 사진에 응축해서 표현한다. 글로는 모두 담을 수 없다. 선비정신이 묻어나는 한옥은 물론 의식주와 제사 등 전통문화의 면면을 렌즈에 담았다. 이 작가는 “종가의 의례와 예법은 인간이 자신의 근원을 되돌아보고 스스로를 다잡아 일으켜 세우는 가장 대표적인 의식”이라고 피력했다. 이 작가가 안동에 첫 발을 들이게 된 계기는 단순했다. 오로지 한옥, 그 하나만 보고 서울에서 출발해 왕복 600㎞에 이르는 거리를 수시로 오갔다.  이 작가는 와룡면 군자리 후조당을 보고 임진왜란 이전의 한옥에서 사람이 살고 있는 모습과 퇴계 선생의 친필인 후조당 현판에 매료됐다. 인근의 탁청정은 현존하는 경북 최초의 고조리서인 수운잡방의 저술을 시작한 탁청정 김유의 집이고 수운잡방을 물려 받은 설월당 김부륜의 집도 지척이다. 당시 설월당 종손의 “조상에게 물려받은 이 집의 종이 한 장도 잃어버리지 않고 지켜서 물려주니 너도 지켜달라”는 말은 일상이었다. 왜란, 호란, 일제 강점기, 6·25를 겪고도 고택을 지켜낸 종손의 후손된 도리가 이 작가의 코끝을 찡하게 했다. 그 이후로 이동춘 작가는 수백 년이라는 세월을 간직한 안동의 고택과 사람이야기에 천착해 왔다. 서울 인사동, 독일 베를린, 헝가리 부다페스트, 불가리아 소피아, 미국 UC버클리, LA한국문화원 등 해외를 두루 돌며 <선비정신과 예를 간직한집, 종가>를 테마로 사진전을 열었다. 도산구곡 예던길, 태사묘, 한옥, 종가, 서원 등을 포함해 해녀, 한지, 소금, 맛집, 누비장 등을 주제로 사진집, 달력 등 출판 활동도 이어왔다. 국립민속박물관, 한국국학진흥원, 상주, 경주, 제주 등 다양한 곳에서 전통과 역사를 기록했다. 오는 5월29일까지 열리는 문화역서울284 공예기획전 <사물을 대하는 태도>에 ‘일일청량’시리즈로 2.4X3m 크기의 대형사진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 전시회는 문화관광체육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관한다.  신성훈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