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해평 취수원 공동이용 협약을 두고 찬반 갈등이 평행선을 이어가는 가운데 수질 개선이 우선이라는 데는 의견이 일치됐다.  낙동강대구경북네트워크와 녹색당 대구시당 등 시민사회단체(환경단체) 11곳은 4일 오전 대구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구미 해평 취수원 공동이용 협정 체결을 반대한다”며 “구미산단 유해화학물질을 거를 수 있는 무방류시스템을 도입해야한다”고 촉구했다. 환경단체는 “취수원 이전은 낙동강 보로 인한 강물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는 또다시 강의 재자연화를 어렵게 하는 방해물로 작용해 결국은 낙동강 녹조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된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구미 공단 상류로 이전한다 해도 김천공단과 영풍제련소 등이 있어 이전 만이 능사가 아니다. 하류 오염만 가중시키고 대구는 낙동강 중류의 수질 관리에 손을 놓게 될 것”이라며 무수한 화학물질이 낙동강에 흘러들지 않도록 무방류시스템 도입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취수원 이전은 대구와 구미 간 극명한 입장 차로 10년 넘게 지지부진하게 진행돼 왔다. 대구는 30여년 전 페놀유출사태를 겪으며 산단 상류로 취수원을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구미는 낙동강 용량 부족과 수질 악화 우려 등을 이유로 취수원 공동이용을 반대해 왔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나대활 구미YMCA 총장은 “취수원 이전은 한 번 움직이면 수십년 간 형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 단순히 대구가 물을 원하고 구미가 막고 있다는 식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유해물질을 피해 상류로 취수원을 옮기겠다는 것은 근시안적인 대책”이라고 지적했다. 김수동 환경운동연합 의장은 “4대강 사업으로 매년 10여년째 여름만 되면 녹조가 강을 덮는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나 지자체가 단순히 상류로 옮기는 것은 문제 해결이 될 수 없다. 상류조차 오염되면 물을 어디서 먹을 것인가. 취수원 이전은 낙동강을 포기하는 정책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설비공사 비용 등으로 인한 수도요금 인상 우려도 나타냈다.  환경단체는 “문산·매곡취수장의 초고도설비공사 비용 포함 7199억원이 들어간다. 광역상수도 체계에 편입돼 원수값이 톤당 53원에서 233원으로 인상돼 부담은 고스란히 대구시민들이 안게 된다. 수돗물값이 4, 5배 인상돼도 깨끗한 물은 없어진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낙동강네트워크 회원이 권영진 대구시장의 얼굴이 그려진 탈을 쓰고 낙동강 포기를 사죄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기도 했다.      반면 같은 날 오후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과 대구참여연대 등 단체 3곳은 취수원 공동 이용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환경단체와 달리 양질의 원수 확보로 취수원 이전은 찬성하지만 수질 개선이 우선이라는 데 뜻을 같이했다. 이들 단체는 “낙동강 통합물관리 협정 체결을 환영한다”면서도 “수질 개선없는 취수원 다변화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취수원 상류 구미공단과 대구 취수장 사이의 유하거리가 짧아 오염원에 대한 상쇄와 자정없이 단시간에 정수장으로 유입될 것”이라며 수질 개선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방안을 요구했다. 한편 이날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을 위한 업무협약(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서)이 세종시에서 체결됐다. 당초 구미시청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구미지역 의원들과 시의회 등에서 협약 체결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불거지자 장소를 바꿨다. 이번 협약 체결로 대구의 낙동강 취수원 일부(일일 약 30만톤)를 구미 해평취수원으로 이전하기 위한 실무작업에 들어간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