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도시화 면적은 전체 면적의 3.6%이지만 인구의 82.8%가 살고 있다.1인가구는 2015년에 비해 늘어났다. 이 사실은 12일 동북지방통계청이 발표한 대구·경북 도시화 분석 보고서에서 확인됐다. ▣준도시 권역 면적 비중 대구 늘고 경북 줄어 2020년 대구와 경북(대경권)의 도시화(도시·준도시) 권역 면적은 708㎢로 대경권 전체 면적 1만9917㎢의 3.6%를 차지했다.  도시권역은 2.2%, 준도시 권역은 1.4%, 비도시 권역은 96.4%에 달했다.  2000년 788㎢과 비교하면 10.2% 감소한 수치다. 대경권의 도시 권역 면적 비중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도시 권역 면적비중은 2000년 대비 0.5% 포인트, 면적은 29.6% 각각 올랐다.  반면 준도시 권역 면적비중은 감소 추세다.  준도시 권역 면적 비중은 2000년 대비 0.9% 포인트, 면적은 39.5% 각각 감소했다.  2000년 대비 대구는 8.9% 증가했지만 경북은 18.3% 줄었다. 도시 권역 비중은 대구 49.1%, 구미시 16.1%, 포항 12.2%, 경산 6.2% 등의 순으로 높았다.  대구는 중심구 일대가 44.9%, 동천·구암동 등 북구가 4.1%를 차지했다.  경북은 송정동, 원평1동 등 구미시 10.6%, 용흥·양학동 등 포항시 북구 10.4% 등의 도시 권역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준도시권역 비중은 대구 16.1%, 경주 10.2%, 경산 9.5%, 영천시·칠곡군 7.3% 등의 순으로 높았다.  대구는 논공·옥포읍 등 달성군 4.4%, 무태조야동, 산격2동 등 북구 2.9% 등의 순으로 크게 차지했다.  경북은 경주시가 5개, 칠곡군이 3개로 지역 내 가장 많은 준도시 권역을 관할하고 있었다.  경산시는 가장 큰 준도시 권역을 관할했다. 주변 도시 권역 확장에 따른 흡수 및 준도시권 축소 등으로 2000년 대비 대구는 해안·도평동 등 동구 등 5개, 경북은 포항시 남구, 구미시 양포동 등 준도시 권역 20개가 주변 도시 권역 확장으로 흡수돼 소멸됐다. 경북 23개 시·군 중 도시 권역이 존재하는 시·군은 8개다. 구미·포항·경산·경주·김천·영주· 안동·칠곡 순으로 면적이 크다.  청송·영양·군위·울릉군은 도시화 권역이 2020년 기준 없다.  청송·울릉군은 2010년 이후, 영양군은 2020년 이후 소멸했다.  군위군은 2000년 이후 도시화 권역이 없다. ▣대구·경북 도시화 권역 인구 409만5천명 2020년 대경권 도시와 준도시의 권역 인구는 409만5000명으로 대경권 전체 인구 494만4000명의 82.8%를 차지했다. 2015년 대비 1.7% 감소했으나 대경권 전체 인구에 대한 비중은 0.4% 포인트 증가했다.  도시 권역은 68.6%, 준도시 권역은 14.2%, 비도시 권역은 17.2%를 차지했다.  대경권 도시 권역 인구 비중은 2015년 대비 0.7% 포인트 증가했다.  준도시는 0.3% 포인트, 비도시는 0.4% 포인트 각각 감소했다. 도시화(도시·준도시) 권역의 여성 비중은 과반인 50.6%를 차지했다.  비도시 권역의 경우 남성 비중이 과반으로 52.3%를 차지했다.  대경권 도시화 권역의 연령대 비중은 40세부터 59세(33.7%), 20세부터 39세(25%), 60세 이상(23.2%), 19세 이하(18.1%) 등의 순이었다.  비도시 권역의 경우 60세 이상이 48%로 가장 크고 40세부터 59세(26.4%), 20세부터 39세(16.9%)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대구·경북권 도시화 권역 가구는 173만 3000가구로 대경권 전체 가구 211만8000가구의 81.8%다.  도시화 권역 가구는 2015년 대비 6.9% 증가했다.  대경권 도시화 권역 가구형태는 친족가구 66.9%, 1인가구 31.6%, 비친족가구 1.4% 등의 순이었다. 1인 가구의 권역 내 구성비는 도시화 발전 순서의 역순인 비도시(37.7%), 준도시(33.3%), 도시(31.3%) 권역 순으로 조사됐다.  도시, 준도시, 비도시 권역 모두에서 1인가구의 수 및 비중이 2015년 대비 증가했다. 도시와 준도시의 1인가구는 54만8000가구로 나타났다. 대경권 도시화 권역 주택은 138만5000호로 대경권 전체 주택 190만 4000호의 72.7%를 차지했다.  2020년 기준 도시화 권역 아파트는 101만6000호로, 전체 주택의 73.4% 차지했다. 단독주택은 17.4%, 다세대주택은 5.8%, 연립주택 2%, 비거주용건물내 주택 1.4%로 집계됐다.  도시, 준도시, 비도시 권역 모두에서 아파트의 수 및 비중이 2015년 대비 증가했다. ▣도시화 권역 종사자는 145만3000명 2019년 대경권 도시·준도시(도시화) 권역 사업체는 32만1000개로, 대경권 전체 사업체 44만8000개의 71.7%다.  2016년 대비 2.2% 증가한 수치다.  도시 권역 58.7%, 준도시 권역 13%, 비도시 권역 28.3%다. 도시화 권역 종사자는 145만3000명으로 대경권 전체 종사자 211만8000명의 68.6%를 차지했다.  2016년 대비 3.6% 증가한 수치다. 도시 권역 56.8%, 준도시 권역 11.8%, 비도시 권역 31.4%다. 대구·경북 지역 내 신도시 개발 및 지방소멸 문제에 대응 등 효과적인 도시 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이번 보고서는 통계청 SGIS(통계지리정보서비스)의 `도시화 분석 지도`를 이용해 기존의 행정구역 단위의 접근이 아닌 UN 도시분류 기준에 따른 통계자료를 제공한다. UN 도시 분류 기준은 행정구역과는 별개로 1㎢의 격자에 상주인구를 집계한 후 인구규모를 기준으로 도시, 준도시 권역을 구분한다. 도시(Urban Center)는 인구가 1500명 이상인 격자 추출 후 인접한 격자끼리 병합한 격자 그룹 생성, 격자 그룹별 인구 총합이 5만명 이상인 경우다.  준도시(Urban Cluster)는 인구가 300명 이상인 격자 추출 후 인접한 격자끼리 병합한 격자 그룹 생성, 격자 그룹별 인구 총합이 5000명 이상인 경우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