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대구취수원 구미이전을 놓고 ‘뒷북 행정’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구취수원 구미이전을 전면 백지화하자 경북도가 뒤늦게 협력방안을 들고 나왔기 때문이다.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은 물건너간 상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17일 구미시에 취수원 공동이용을 폐기한다는 최후통첩을 날렸다. 구미시와의 13년에 걸친 물분쟁에 종지부를 찍으면서 경북도가 그동안 공들여온 일이 한꺼번에 무너진 셈이다. 홍 시장은 “대구의 상수원을 더 이상 구미지역에 매달려 애원하지 않는다”는 의지는 너무 강하다. 이미 홍시장은 취수원 문제는 이철우 경북지사가 중재해도 안돼다고 못박았다. 대구시도 17일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을 골자로 한 ‘맑은물 나눔과 상생 발전에 관한 협정’ 해지를 국무조정실·환경부·경북도·구미시·수자원공사에 통보했다. 홍 시장의 강경노선에 이철우 경북지사가 직접나섰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영남권 식수원 해결 방안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에 대해 대구·경북이 원팀 정신을 바탕으로 상생 발전토록 구체적인 방안 마련을 지시했다. 도는 이달희 경제부지사를 단장으로 민·관 TF를 구성, 전문가, 주민 등 각계의 의견을 듣고, 해외 사례를 조사하는 등 실행방안 마련에 나선다. 도는 간부공무원을 환경부에 보내 정부 차원의 노력을 촉구했다. 대구 취수원의 구미(해평) 이전안은 오랫동안 정부와 낙동강 상·하류 기관들이 합의하고, 전문가들의 타당성 연구·검토를 거쳐 올해 국책사업으로 채택, 추진되고 있는 사안이다.  실제 올 6월 예타 통과, 올 하반기 기본계획 수립 후 2023~2024년 기본·실시설계에 이어 2025년 착공, 2028년 준공한다는 장밋빛 청사진을 그렸다. 경북도는 낙동강에서 취수한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대구는 오래 전부터 취수원 이전을 희망해 왔다.      2010년 구미와 안동댐이 검토됐으나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결론 나 무산된 이후 뚜렷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 하지만 지역의 건의로 2018년 정부가 대구·경북은 물론, 부산·울산·경남 등 낙동강 수계 전체에 대한 물관리 방안 마련에 나서면서 해결의 물꼬를 텃다. 2019년 정부와 영남권 시·도지사들의 합의(2018년 10월 18일 협약 체결)하에 구미와 임하댐을 대상으로 물 관련 전문기관의 연구·검토를 거친 결과 구미광역취수장이 있는 구미시 해평면이 타당한 것으로 결론 났다.  정부와 해당 지자체, 전문가, 시민대표 간 논의를 거쳐 대구시가 낙동강에서 취수하고 있는 60만여톤 중 30만톤을 구미광역취수장으로 이전하기로 합의했다. 지난 4월 4일 환경부·대구시·경북도·구미시·수자원공사가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서’를 체결하면서 급물살을 타는 듯 했다. 그러나 민선8기 출범 이후 구미시는 해평취수원 보다 오염 우려가 적은 안전한 식수원 확보를 위해 애초 보다 상류로 이전할 것을 제안했다. 대구시는 낙동강 상류인 안동댐으로부터 물을 공급 받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서면서 그동안 어렵게 마련한 대구 취수원 이전 계획이 수포로 돌아가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취수원 다변화 문제는 주민들의 삶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인 만큼 주민들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토론과 합의 등 공론화의 과정을 차근차근 거치는 것이 시행착오를 막는 바람직한 방향이다"고 했다. 그는 “향후 대구경북협의체도 구성, 공감대 형성될 때까지 소통할 수 있도록 하고 정부와도 협의를 계속해 나가겠다. 이 과정에서 충분한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제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해법을 제시하고 전면에 나서야 할 때이다. 하류 지역에는 맑은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 상류 지역에는 발전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정부가 확실하게 보증하고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해 줄 것을 촉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