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수계에서 알츠하이머, 치매 등 뇌질환을 유발하는 신경독소(BAMM, 베타 메틸아미노 알라닌)가 처음으로 검출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구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와 학계는 25일 “이달 초 진행한 낙동강 현장 조사에서 이런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네트워크, 대한하천학회,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은 이날 환경운동연합 마당에서 가진 ‘낙동강 국민체감 녹조조사단’ 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4대강 사업으로 인한 환경재난이 사회재난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이들은 지난 4일부터 사흘간 부산 낙동강 하굿둑에서 영주댐에 이르는 낙동강 전 구간에서 녹조 현황 조사를 벌였다. 조사단에 따르면 낙동강 수계에 인접한 바다에서도 녹조 독소가 검출됐으며, 특히 알츠하이머와 치매 등 뇌질환 유발 신경독소인 BMAA가 부산 다대포해수욕장과 낙동강 레포츠벨리에서 나왔다. BAMM이 검출된 것은 국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단은 낙동강 본류 23개, 경남 양산지역 논 7개, 다대포해수욕장 1개 샘플을 부경대 이승준 교수팀에 의뢰해 `효소면역측정법`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다대포해수욕장에서 BMAA이 1.116ug/L 검출됐으며, 발암물질과 간독성, 생식 독성을 가진 마이크로시스틴 10.06ug/L가 나왔다. 낙동강 레포츠벨리에서는 마이크로시스틴 388ug/L가 검출됐다. 이는 미국 기준의 48.5배에 해당하는 것이다. 낙동강 레포츠벨리 퇴적토에서는 4종의 남세균 독소가 검출됐고, BMAA도 3.247ug/kg 나왔다. 환경운동연합은 “BMAA 검출은 녹조 독소에 따른 피해가 낙동강뿐 아니라 바다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라며 “4대강 사업 이후 낙동강의 상태가 매우 심각한데도 정부 대책은 국민 건강과 안전에 대한 가시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농업용수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낙동강 물을 끌어다 쓰는 경남 양산지역 논에서 마이크로시스틴 5079ug/L이 검출됐고, 영주댐 선착장에서는 아나톡신 3.945ug/L가 검출됐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낙동강 대규모 녹조 창궐이라는 환경재난이 국민 불안을 야기하면서 사회·경제적 피해로 이어지는 사회재난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