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탄소중립 경영이 글로벌 화두로 부각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의 참여는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구미시갑)이 기술보증기금(KIBO)으로부터 제출받은 ‘중소기업 저탄소·친환경 경영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탄소중립 관련 준비가 돼 있다’고 답한 업체가 3.2%에 불과했다. 또 44.1%는 ‘준비할 계획이다’, 28.3%는 ‘전혀 준비가 없다’, 24.4%는 ‘준비 중’이라고 응답했다. KIBO는 지난해 12월 종사자 수 10인 이상 중소기업 3724명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모바일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탄소중립 경영 전환 시 애로사항은 ‘비용 부담`이 62.5%로 가장 많았고 정보·지식 부족(23.7%), 기술·노하우 부족(4.1%), 정부 지원제도와 전문인력 부족(3.6%) 순이었다. 탄소중립을 위해 필요한 1순위 투자는 32.3%가 고효율 생산설비 도입을 꼽았고, 신·재생 에너지원 시설 구축 15.6%, 친환경수송수단으로 교체 14.9%, 저탄소·친환경 기술제품 개발 9.9%, 저탄소 공정 전환 7%, 생산설비 외 에너지 다소비기기 교체 6.5%, 전문인력 양성 3.2%로 나타났다. 탄소중립과 저탄소·친환경 경영을 위한 정부 지원 필요성에 대해서는 10곳 중 9곳이 ‘필요하다’(90.5%)고 답했으며, 선호하는 정책으로는 자금지원 58.8%, 교육·정보 제공 19.2%, 친환경 제품 개발 R&D 지원 14.3%, 인증서 획득 지원 2.9%, 컨설팅 지원 2.9%으로 나타났다. 탄소중립이 경영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제조비용 상승(91.7%), 환경규제(43.2%), 거래처의 탄소감축 요구 증가(30.1%), 수출 규제(25.7%), 기업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3.4%)를 꼽았다. ‘탄소중립 경영이 준비돼 있다’는 중소기업 중 현재까지 평균 투자액은 4억3400만원이며, 앞으로 탄소중립 경영에 필요한 평균 금액은 10억5200만원이라고 답했다. 구자근 의원은 “중소기업은 자금력이 풍부한 대기업과 달리 탄소중립을 위한 준비가 부족할 수 밖에 없는 만큼 향후 무역분쟁 방지와 산업기술 경쟁 제고를 위해 정부가 적극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