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을 중심으로 무당층이 증가, 선거 막판까지 표심을 정하지 못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총선을 이틀 앞둔 시점에서 대표적인 캐스팅보터로 꼽히는 2030을 향한 청년 공약이 눈에 잘 띄지 않고 있다. 반면 5060을 향한 여야의 구애는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 이에 정치권에선 5060을 위한 공약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 아니냐는 비판과 함께 결국 2030에서 선거 승패가 좌우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총 4428만 11명의 유권자 가운데 50대 이상 유권자가 51.58%로 절반을 넘겼다. 특히 60대 이상은 4년 만에 210만 명이 늘어 세대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역대 총선 중 60대와 70대 이상 비중이 31.9%로 18~29세와 30대 비중30.6%를 처음으로 앞섰다. 총선 후보자 연령도 평균 연령이 57.8세로 21대 총선 평균 54.8세보다 3세 늘었다. 이에 여야는 맞춤형 공약을 쏟아냈다. 국민의힘은 요양병원 간병비 급여화 추진, 경로당 점심 주 7일로 확대,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실버타운 확대 특별법 제정을 약속했고, 더불어민주당은 경로당 주 5일 어르신 점심 제공, 요양병원 간병비 건강보험 적용 등으로 맞불을 놨다. 여야의 청년 정책이 없는 것은 아니다.   국민의힘은 청년청 신설, 아빠 1개월 출산 유급 휴가 개시, 올해 2학기부터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 전면 실시, 청년 대상 주택공급 확대 등을 내세웠다. 민주당은 월 3만원 청년패스, 천원의 아침밥 확대, 신혼부부 가구당 10년 만기 시 1억원 대출, 자녀 출산 시 무이자 적용에 원금 전액 감면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구체성이 부족하고 각종 공약에 선행 조건이 붙을 뿐 아니라 청년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평이 나온다. 배경엔 단순 유권자 수치뿐 아니라 최근 총선 과정에서 이는 막말 논란, 지난 대선에 이은 `심판` 선거 등 다양한 요인이 자리한다. 이에 2030을 중심으로 무당층이 증가, 선거 막판까지 표심을 정하지 못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업체 한국갤럽이 지난달 26일부터 28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전화 조사원 인터뷰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18세~29세의 무당층 비율은 38%, 30대의 무당층 비율은 29%를 기록했다. 반면 40대 무당층 비율은 12%, 50대 무당층 비율은 11%, 60대 무당층 비율은 11%, 70대 이상 무당층 비율은 6%를 기록했다.(자세한 사항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2030세대 3명 중 1명꼴이 무당층으로 조사되면서 결국 이들이 막판 변수로 떠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초박빙 지역으로 꼽히는 50여 개 선거구의 승패가 이들 손에 갈릴 것이란 예측이 가능하다. 60대 이상이 보수, 4050이 진보 성향을 가진 데 비해 2030은 선거마다 선택을 달리했기 때문이다. 분석가는 "2030의 막판 표심이 전체 선거, 특히 격전지에서 영향을 줄 수 있다"며 "2030 남성의 경우 보수 우세, 여성의 경우 진보 우세의 흐름이 어떤 변화를 줄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조여은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