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대구은행이 전국에서 영업이 가능한 시중은행으로 재탄생했다.  1992년 평화은행 이후 32년 만에 새로운 시중은행의 탄생으로 은행권 과점체제 해소를 위한 `메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6일 제9차 정례회의를 열어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위한 은행업 인가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시중은행이란 전국에서 영업이 가능한 상업은행을 말한다.  대구·경북권 중심의 지방은행이었던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인가가 남에 따라 국내 시중은행은 기존 KB국민·신한·우리·하나·씨티·SC제일은행에 이어 7개로 늘어나게 됐다. NH농협은행은 특수은행으로 분류된다. 1967년 국내 첫 지방은행으로 탄생한 대구은행은 설립 57년만에 시중은행으로 탈바꿈하게 됨에 따라 사명을 `iM뱅크`로 변경한다. 시중은행 전환에 대한 인가가 남에 따라 대구은행이 기존 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 등 5대 은행 중심의 은행권 과점체제를 흔들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금융당국이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추진했던 것은 전 은행권 대출·예금의 약 70%를 5대 은행이 점유하고 있는 과점적 구조의 은행산업을 경합시장으로 전환시키겠다는 의도에서였다. 대구은행은 수도권과 충청·강원 등에 향후 3년간 영업점 14개를 신설한다. 금융당국은 대구은행이 본점은 계속 대구에 둘 것을 조건으로 걸어 시중은행 전환 인가를 내줬다.  올해 1분기 기준 대구은행의 총자산은 79조원 수준인데 반해 기존 주요 시중은행들의 총자산은 400조~500조원에 달해 격차가 5배 이상 난다. 지역 경기 침체로 대구은행의 연체율이 시중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건전성 우려도 제기된다.  1분기 대구은행의 연체율은 0.64%로 국내 은행의 3월말 기준 연체율(0.43%)을 상회한다. 취약한 내부통제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지난해 8월 대구은행에서 56개 영업점 직원 111명이 고객 동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고객 1547명 명의의 은행예금 연계 증권계좌 1657건을 임의 개설한 금융사고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조미경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