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극복을 위해선 여성의 마음부터 얻어야 한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나왔다.경북 출생아 급감원인은 여성들이 떠났기 때문이다. `저출생과 전쟁 혁신 대책 회의(18회차)` 에서 나온 말이다.경북도는 5일 기존 `저출생과 대책 점검 회의`를 격상해 전문가 제안·토론 중심의 저출생과 전쟁 혁신 대책 회의를 열었다.회의는 이철우 경북지사, 행정·경제부지사, 실·국장 등 기존 공무원과 도내 공공기관인 경북행복재단 대표이사, 경북연구원장, 경북테크노파크 원장, 경북여성정책개발원장 등이 참석했다.회의에서 저출생 전문가로 나선 정재훈 경북행복재단 대표이사는 `대한민국을 바꾸는 경북의 선택`을 발표했다.발표에서 정 대표는 아이를 낳지 않는 이유에 대해 "행복하거나 주어진 삶에 적응할 때 사람들은 아이를 낳는다"며 "우리나라 많은 청년들은 어느 정도 살 수 있는 경제적 수준에 도달해도 삶의 만족도가 낮은 `불일치`, 경제적으로 (상대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삶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박탈` 때문에 저출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그는 "출산주체로서 여성의 경험은 반드시 짚어봐야 할 요인"이라며 "엄마의 독박육아와 경력단절, 아빠의 부양부담 해소 등을 통한 삶의 만족도 향상이 비용 지원과 함께 가야만 저출생 현상의 실마리가 풀릴 것"이라고 강조했다.정 대표에 따르면 2015년을 기준으로 할 때 지난해까지 경북의 출생아 수 감소율은 54.3%로서 전국 평균 47.5%보다 높았다.출생아 수 감소 폭이 큰 이유에 대해 정 대표는 "같은 기간 20~34세 여성 인구 수 감소율은 전국 평균이 8.2%이나 경북은 24.5%로 전국 평균보다 세 배 이상 높은 여성청년 유출"이라며 "대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정 대표는 또 "대기업 본사 등의 지방 이전, 재택근무와 같은 유연한 노동 방식으로의 혁신적인 변화 등으로 인구를 유입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기업의 직원들이 이동할 수 있는 생활 기반을 선제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는 일자리 창출만큼의 효과적인 인구 유입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먹거리 공동체, 교육 공동체, 일자리 공동체, 돌봄 공동체, 복지 공동체 등을 내용으로 하는 `나만의 작은 숲 공동체` 프로젝트를 설명하면서 "중장년, 노인, 가족의 이동을 유도해 인구 이동의 나비효과를 경북에서 일으키자"고 제안했다.정 대표는 "지금 한국 사회는 인구 위기를 맞기 전에 가족 위기부터 마주했다"며 "공동체의 회복과 삶을 행복하게 받아들이는 사람이 점차 많아질 때 출생률 반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철우 경북지사는 "현장 의견과 공무원들의 노력으로 단기 대책은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이제부터는 민간 전문가 등과 협업으로 저출생 대응의 구조적이고, 근본적인 대한민국을 살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도는 도, 도의회, 공공기관장, 민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저출생과 전쟁 혁신 전략위원회`를 구성해 예산 구조 조정, 정책 전환, 추가 대책 발표, 정책 평가 등 최고 의사 결정을 위한 `C레벨 협의체`로 가동한다.하반기에는 △정부의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 대응계획 수립과 경북 주도 저출생 극복 대책’ 국가 사업화 △여성 친화 경북 등 저출생 극복 심화 전략 마련 △저출생 대응 관점, 경제·사회 구조적인 문제 대응 방안 마련에 집중한다.도는 저출생과 전쟁 필승 100대 과제 등 저출생 극복 단기 대책 선도에 이어 수도권 집중 완화 및 교육개혁 등 구조적인 대책 마련에도 앞장선다.   김성용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