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군의 서재주민지원협의회(이하 협의회)가 본래의 설립 목적을 상실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협의회의 일부 위원들의 장기 집권과 불투명한 운영으로 주민들과 극심한 갈등을 초래하고 있어 지역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2003년 8월에 출범한 협의회는 대구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리와 박곡리 지역 주민들의 대표 기구로, 대구시 쓰레기 매립장 운영에 따른 주민 지원과 지역 발전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매년 약 22억 원에 달하는 주민지원기금과 쓰레기 반입 수수료를 활용해 다양한 지역 발전 사업을 펼치고 있다.그러나 일부 위원들은 최대 10년 이상 연임하며 권력을 독점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실제로 기자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중임 위원들 중 5년을 연임한 위원이 2명, 4년을 연임한 위원이 3명 등 대부분이 6년 이상의 위원직을 유지하고 있다.주민 선거를 통해 2년마다 선출되는 위원들이지만, 이들은 노인회를 중심으로 사조직을 구축해 선거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주민 C씨는 "일부 위원들이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지지자들에게 혜택을 주며 표심을 조작하고 있다"며 "대표적인 일자리인 쓰레기 성상조사원은 그동안 위원들과 친분이 있는 사람이 공정한 절차를 무시하고 임명되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위원들의 업무 전문성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환경 문제를 다루는 협의회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분야의 전문 인력이 부족해 효과적인 대처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전문 지식 없이 협의회는 대구시의 환경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쓰레기 매립장 복토에도 불구하고 침출수 등 강력한 악취가 일상생활을 어렵게 할 정도로 심각하지만, 협의회는 어떤 해결책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서재리 내 환경영향평가 지역에 위치하지 않은 아파트 주민들은 쓰레기 매립장의 비산 먼지와 악취로 인해 큰 피해를 보고 있음에도 주민지원기금 혜택에서 제외 돼 주민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실제 모 아파트는 협의회와 법정 다툼을 한 적도 있었다. 주민들은 기금이 체육대회, 해외여행 등과 같은 사업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실제로 지역발전과 모든 주민들에게 필요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서동초등학교가 학교발전기금 지원에서 제외된 사례도 이러한 불만을 반영하고 있다.전문가들은 협의회의 중임 제한과 전문성 강화가 시급하다고 조언한다. 환경학을 전공한 인재나 전문가를 간사로 임명하고, 위원들의 교육을 강화하는 등의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서재주민지원협의회장을 역임한 A씨는 "협의회가 진정한 주민 지원과 지역 발전의 구심점이 되기 위해서는 정관 변경을 통해 중임을 제한하고, 운영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며 "초심을 잃지 않고 주민들을 위한 조직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여은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