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군의회는 을사년 새해맞이 첫 정례간담회(1월8일)를 가졌다.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군정발전을 위한 과제와 계획을 논의하기 위해서다.이날 전종율 청도군의장을 포함한 의원 7명과 집행부 간부 공무들이 참석했다.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제적 상황 속에서 군민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흔들림 없는 업무 추진을 위한 다양한 대안을 논의했다.설 연휴를 앞두고 비상상황 대책과 정월대보름 행사 계획, 단체관광객 유치 인센티브 사업 관련 등 군정 전반에 관해 보고를 듣고 궁금한 점을 질의하는 등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전종율 군의장은 “어수선한 국정과 지속된 경기침체 속에서도 차질 없는 군정업무 추진에 감사드린다.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소외되는 이웃이 없도록 잘 살펴달라"고 말했다.박성곤<사진> 청도군의원은 제305회 청도군의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청년농업인 육성사업 문제점 지적 및 대책 마련’ 을 호소했다. 박 군의원은 2018년부터 시작된 청년농업인 육성사업에 대해 “줄어든 예산과 기존 선정자들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또다시 연간 5000명을 선발하는 계획은 3만명 육성이라는 수치상의 실적에만 초점을 맞춘 정책운영이 아니냐” 는 의문을 제기했다. 실제 청년농업인 육성자금은 농업을 시작하는 청년들에게 정부가 장기 저리 융자(최대5억원)을 지원해주는 사업이다. 농촌에 기반이 부족하고 자금력이 약한 청년들에게 꼭 필요한 지원으로 꼽힌다. 자금 신청만 하면 선정은 무난했던 지난해까지와는 달리, 예산부족으로 인해 자금 배정기준까지 바뀌면서 올해에는 자금 선정이 ‘하늘의 별따기’ 수준이다. 청도군에서도 25명이 신청했지만 단 4명만이 선정되는 극악의 경쟁률을 보이며 많은 청년농업인들이 피해를 겪고 있다. 정부 자금을 믿고 농지를 계약했다 자금 융통이 되지 않아 계약금을 날리된 사례, 시설공사 잔금을 치르느라 개인 여윳돈을 몰아넣고 생활비가 없는 사례 등 각종 피해 사례들이 속출하고 있다. 박 군의원은 “지금 가장 시급한 것은 이미 선정된 청년농업인들에 대한 신뢰 회복과 재정적 지원 방안 마련이라"고 강조했다.그는 "문제해결을 위한 실질적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대한민국 정부와 청도군의 적극적인 관심과 해결"을 강력히 요청했다. 조여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