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항 (경산경찰서 서부지구대 1팀 경위) 운전을 하다보면 어린이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설정된 구역인 “스쿨존”이 있고, 차량에 누군가 탑승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해 “ 아기가 타고 있어요”, “ 어린이가 탑승하고 있습니다” 라고 쓰인 스티커를 부착해 다니는 차량이 있으며, 누가 운전하고 있는지를 알리기 위해 “초보운전”, “왕 초보운전”, 노인께서 운전 중입니다“  스티커를 부착한 차량도 눈에 띈다. 차량의 뒤 유리에 부착하고 다니는 스티커나 마크는 다른 운전자들에게 자신의 존재가 어떤 사람인지를 알리고 이해를 구하고 양보해 달라는 표시일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것 같다.  자녀가 다니고 있는 초등학교 홈페이지에 게재된 글을 읽어보니 스쿨존에서 등굣길 교통정리를 하고 있는 선생님이나 자원봉사자들이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하여 차량을 통제하거나 주차된 차량에게 이동주차를 요구하면 욕설을 하고 따지는 운전자가 있다고 하며, 운전면허를 갓 취득하여 “초보운전”이라는 문구를 부착하고 운전을 하다가 보면 위협운전이나 근접운전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 부착한 스티커를 제거하고 운전하는 것이 오히려 수월하더라는 어느 초보운전자의 이야기는 시사 하는바 크다고 하겠다.  운전은 자신의 생각과 판단, 그리고 행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고유한 개인의 업무이지만 타인을 생각하고, 조화를 이루어야만이 교통사고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어린이의 존재를 알리는 “스쿨존”에서는 서행안전 운행과 “실버마크”, “초보운전”를 부착한 차량이 앞서 운행하고 있다면 추월이나 난폭운전, 경음기사용을 자제토록 하여 교통약자인 어린이 보호와 운전약자인 초보운전자와 노인운전자를 배려하는 교통문화를 만들어 갔으면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