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가 매년 산불 피해지역의 조림사업이 잘못된 수종선택과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 예산만 낭비하고 있다.  최근 산불피해지역 조림 사업지를 살펴본 결과 많은 면적의 수목이 고사했거나 관리차원에서 풀베기 작업을 하면서 조림목 까지 베어버린 경우가 많은 탓이다.  올해도 풍산읍 산불 피해지역 조림 사업지 현장 확인 결과 토질에 따라 수종을 선택해 식재했다고 했지만 확인 결과 토질에도 맞지 않는 나무를 심어 일부 나무가 고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산주 권 모 (62)씨는 “수종선택과 사후관리를 행정에서만 할 것이 아니라 주민과의 협의해서 선택하고, 관심을 갖고 함께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식재하겠다는 동의만 얻고 조림사업을 해 주민은 관심이 멀어질 수밖에 없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산불피해지역에 몇 가지의 수종을 지정해놓고 선택해서 식재하라는 방침이다”면서 “토질을 분석해 수종을 선택하고 초기 생육을 돕기 위해 3년간 1회씩 풀베기작업을 하고 있지만 참나무는 잘 보이지 않아 관리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나무 전문가에 따르면 “나무는 한번 심으면 백년을 내다봐야 하므로 관리가 어려운 수종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먼저 산불피해지역의 수생상태를 잘 살펴보고 자연복원지역과 인공조립지역을 나눠서 사업을 하는 방법도 찾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산불피해지 생육지는 햇볕이 많이 들어 어린 묘목이 올라오고 있다면 이는 인공조림을 하는 것보다는 더 빠르게 조림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